이재명 성남시장이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열정페이 피해사례 접수’를 시작한 지 하루 만인 24일 500여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이 시장은 전날 대선 출마 선언 직후 페이스북에 ‘열정페이 작살내겠습니다’는 글을 올렸다. 열정페이를 작살낼 정책을 수립할 테니 제보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이 시장은 페이스북에 “대한민국에 더 이상 헌신이라는 이름으로 재능을 착취당하는 젊은이가 있으면 안 된다”며 “열정페이를 작살낼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적었다. ‘열정페이’란 열정이라는 명분으로 무급 혹은 저임금을 강요하는 노동 형태를 말한다.
이 시장의 SNS에는 24일 오전까지 교육, 문화, 산업, 예술 등 분야를 망라한 500여건의 신고가 쏟아졌다. 한 대학원생은 “세금 떼고 월급이 38만원인데 그마저 한 달치는 못 받았다”며 “학과장은 1년 예산이 15억원이라고 자랑하던데 그 많은 예산은 어디로 갔느냐. 석사과정 하면서 얻은 것은 졸업장과 위염, 위궤양, 두통뿐”이라고 열정페이 사례를 제보했다.
방송업계 관계자는 “밤낮없이 버스에서 쪽잠을 자면서 일했지만 모든 영광은 배우와 감독, 작가에게 돌아간다”며 “현장에서 피땀 흘린 스태프에게는 겨우 밥 먹고 살 정도만 준다”고 글을 올렸다. 오전 4시 출근하고 오후 6시 퇴근하면서 월급 120만원을 받는 제과업계 사례, 실업계 고교생을 실습 명분으로 병원이나 공장에서 무임금 노동을 시키는 사례도 있었다. 아르바이트 임금을 주기 싫어 ‘알바 인턴’이란 제도를 만든 사업체도 있었다.
이 시장 측은 각종 피해 사례를 종합해 재발방지 대책을 공약으로 내놓을 계획이다. 성남시 김남준 대변인은 “실생활에서 국민들이 겪는 고충이 많이 들어왔다”며 “피해 사례를 종합해 전문가와 교수 등의 자문을 받아 열정페이 해소 방안을 정책화하는 것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피해 사례 접수가 예상보다 많은 만큼 구체적인 정책 발표 시한을 못박지 않겠다고 했다.
글=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 사진= 최종학 선임기자
이재명 ‘열정페이’ 받아보니… 하루 만에 500여명 울분 접수
입력 2017-01-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