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식 출범한 바른정당… 존재감 회복이 급선무

입력 2017-01-24 17:30
바른정당이 24일 공식 출범했다. 새누리당 비박계가 집단 탈당한 지 28일 만이다. 소속 의원만 32명인데다 설 연휴를 전후해 새누리당 탈당자가 추가 합류할 것으로 보여 제3당의 위치까지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 바른정당이 새로운 보수 정치의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토대는 마련된 셈이다.

바른정당은 창당대회를 반성문으로 시작했다. 현역 및 원외 인사 모두 무대 위로 올라가 무릎을 꿇었다. 이어 정병국 대표는 7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법치, 윤리, 특권 폐지, 소통, 학습, 미래, 포용이 그것이다. 새누리당을 가짜 보수라며 보수 적통 경쟁에 다시 불을 지폈다. 친박계와 친문계 등 극단적인 계파를 제외하고 중도층을 흡수할 수 있는 범보수 대안세력의 지위를 확고히 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바른정당의 앞날이 그리 순탄하지만은 않아 보인다. 탈당 컨벤션효과가 떨어지면서 지지율은 새누리당에도 뒤지고 있다. 새누리당과의 차별화도 지지부진하다. 18세 투표권 등 주요 현안들에 대해 당론조차 정하지 못하며 우물쭈물하고 있다. 당내 대선 후보들은 여야를 통털어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현재의 바른정당 모습에선 보수의 희망을 찾아볼 수 없다.

바른정당의 최우선 과제는 존재감 회복이다. 유력 대선 후보를 만들어내는 게 급선무다. 유력 대선 후보가 있어야 연대든 통합이든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유력 대선 후보가 없으면 생존 가능성이 낮은 게 정당판의 냉혹한 현실이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영입에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다. 반 전 총장과 당내 젊은 후보들의 빅매치 경선을 성사시킨다면 존재감 각인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외연 확대는 필수다. 새누리당 탈당 의원만 기다릴게 아니라 제3지대 인사들에게 과감히 문호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바른정당이 빅텐트로 거듭나야 하는 것이다. 현안에 대한 분명한 비전과 콘텐츠를 설 밥상에 올려놓는 작업도 병행해야 한다.

문제는 시간이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시기가 2월 말로 앞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4월 말 대선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바른정당은 보수 유권자들이 기댈 정치세력으로 거듭날 수 있는 행보를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