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23일 “중도사퇴는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새누리당에 안 간다는 얘기를 한 적 없고, 바른정당 간다는 얘기도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반 전 총장은 서울 마포구의 한 호텔에서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 9명과 만났다. 반 전 총장이 현역 의원들을 공개적으로 만나 대화한 것은 처음이다.
반 전 총장은 일부 의원들이 이른바 제3지대론을 거론하자 “여러분이 생각하는 대로 그렇게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정당에 가입하지 않고 중도·보수를 아우를 수 있는 제3지대에서 정치 세력화를 모색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빅텐트’를 추진하면서도 중도보다는 보수에 무게중심을 두겠다는 의도도 감추지 않았다. 반 전 총장은 “중도 쪽으로 외연을 넓혀야 한다”는 주장에 수긍했고, “보수 대통합의 구심점이 돼 달라”는 요청에도 동의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참석 의원들이 전했다.
새누리당과 바른정당을 놓고서는 반반(半半)의 모습을 보였다. 반 전 총장은 “통합적으로 가야지, 어느 정당에 들어간다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고 한다. 반 전 총장은 또 민생 행보 과정에서 드러난 일부 실수에 대해 공개적으로 유감의 뜻을 밝히겠다는 뜻도 피력했다. 하지만 “몇 년 동안 준비해 온 사람과 한 달 동안 준비한 사람이 같을 수는 없지 않으냐”고 억울함도 표출했다고 한다. 회동에는 새누리당 박덕흠 권석창 김성원 민경욱 박찬우 이만희 이양수 이철규 최교일 의원이 참석했다.
빅텐트 구성을 위한 반 전 총장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반 전 총장은 지난 21일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와 만났다. 또 같은 날 김한길 전 대표와도 독대했다. 반 전 총장은 연쇄회동에서 빅텐트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24일에는 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만날 예정이다.
반 전 총장은 김 전 대표와의 만남에 대해 “중요한 대화는 공개적으로 밝히기 어려운 점을 양해해 달라”고 말을 아꼈다. 그는 한 방송에 출연해 “절박한 심정으로 정치에 투신했다. 저와 뜻을 같이하는 어떤 정당, 어떤 사람이라도 같이 일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반 전 총장은 개헌과 관련해선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대선이 실시되기 전에 했으면 좋겠다”며 “대선과 총선을 같이 실시하면 국민 분열 소지를 훨씬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권력 분산 필요성엔 공감했지만 구체적인 개편 방향은 언급하지 않았다.
반 전 총장을 도울 것으로 알려진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예상을 못했는데 바른정당의 최고위원으로 추대됐다”면서 “바른정당 의원들과 논의해 반 전 총장 캠프 합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 전 시장은 반 전 총장으로부터 캠프의 전권을 주겠다는 제안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합류 가능성이 높다.
이런 상황에서 박순자 의원은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바른정당에 입당했다. 바른정당 의원 수는 31명으로 늘었고, 새누리당은 96명으로 줄었다.
박 의원 탈당을 신호탄으로 설 연휴 이후 정치권 지각변동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2월 빅뱅설도 다시 부상했다. 새누리당 의원들이 집단 탈당해 반 전 총장 쪽이나 바른정당을 찾아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박덕흠 이종배 경대수 의원 등 충북 지역 의원들과 정진석 성일종 의원 등 충남 지역 의원들이 새누리당을 떠나 반 전 총장을 도울 것이라는 얘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반 전 총장과 회동했던 새누리당 의원들의 탈당설도 나온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潘 “중도 사퇴는 없다”… 새누리·바른정당 선택은 ‘半半’
입력 2017-01-23 18:08 수정 2017-01-24 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