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는 포스텍 연구팀과 함께 디젤차량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정화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고내열성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현대·기아차 배기촉매 리서치랩과 포스텍 환경공학부 홍석봉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Cu-LTA 제올라이트는 디젤차량 배기가스 정화 기술 중 하나인 SCR(선택적 환원 촉매) 장치에 사용하는 촉매다.
SCR 장치는 차량 배출가스에 있는 질소산화물을 인체에 무해한 질소와 물로 변환시키는 배기가스 저감장치다. 뜨거운 배기가스를 견뎌야 하는 촉매를 확보하는 게 핵심이다. Cu-LTA는 내열 성능이 기존 촉매보다 150도 높다.
이 기술을 상용화하면 엔진 사용 영역이 넓어지고 연비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가의 기존 물질을 대체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데다 고부가가치 기술 국산화로 기술 로열티 수익까지 기대할 수 있다.
현대·기아차 측은 “이번 연구결과는 내연기관의 친환경화를 주도해나갈 수 있는 정화 기술을 국산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학계, 협력사 등과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배출가스 정화 기술 개발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현대기아차, 디젤차 가스 획기적 저감 촉매 개발
입력 2017-01-23 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