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여성가족부 중점 시책] 일·가정양립제 정착 통해 저출산 해소 핵심 역할

입력 2017-01-22 19:26 수정 2017-01-22 19:27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이 6일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일·가정 양립 정착과 여성인재 활용 강화 등 2017년도 여성가족부 업무계획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지난 18일 중국에서 생활하던 생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한 명인 박차순 할머니의 별세 소식이 전해지자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 여성가족부(장관 강은희) 전체가 갑자기 부산해졌다. 특히 강 장관은 2015년 한·일합의 당시 46명이던 생존자 가운데 벌써 8명이나 세상을 떠난 데 대해 안타까움을 나타내면서 지체 없이 장례비용 일체를 지원하겠다는 내용과 함께 위로의 마음을 담은 조전을 보냈다. 여가부는 이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생활안정지원금을 월 126만원에서 129만8000원으로, 간병비를 1인 평균 105만5000원에서 108만7000원으로 인상한다는 방침을 정해 놓았다. 또 호스피스 병동 입원비 지원을 위해 4000만원의 예산도 확보해 놓았다.

이처럼 여가부는 부처 이름에 있는 ‘여성’과 ‘가족’의 범위를 넘어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서부터 우리 사회의 청소년 문제, 성폭력 문제 등 다양한 이슈를 다룬다. 특히 올해의 경우 점점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등 달라지는 제도와 서비스를 마련했다.여가부는 일단 2017년 새해를 맞아 저출산 해결의 핵심 대책인 ‘일·가정 양립 정착 지원과 여성인재 활용 강화’, ‘양육친화적 사회환경 조성’, ‘여성과 청소년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로 정책방향을 잡고 세부내용에 많은 변화를 줬다.

양병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