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측이 반환점을 돈 특검 수사와 빨라지는 탄핵심판에 맞서 강공으로 전환했다. 손놓고 있다가는 ‘2월 탄핵’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 측은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의 소추안 수정 움직임에 이의를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박 대통령의 법률위반 행위를 헌법 위반 중심으로 재작성해 헌재에 제출키로 한 소추위원단에 맞서 본회의에서 의결된 소추안을 변경하려면 재의결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논리다.
박 대통령에 대한 직접 조사를 예고한 특검에는 초강수를 뒀다. 박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은 ‘박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이후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했다’고 보도한 언론사와 이를 언급한 특검 관계자를 형사 고발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하겠다고 22일 밝혔다. 박 대통령 측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수사팀과 언론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선 건 처음이다.
공세 전환에는 박 대통령의 의중이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김기춘(78)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51)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동시에 구속되자 충격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주도한 혐의로 21일 구속된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은 나란히 수갑을 찬 채 소환됐다. 이들은 22일 서울 강남구 박영수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출석해 조사받았다. 이들은 영장실질심사 때 입었던 정장을 입고 출석했다. 두 사람은 수갑은 벗지 못했다. 김 전 실장은 손수건으로, 조 전 장관은 옷소매와 손으로 수갑을 가리고 법무부 호송차량에서 걸어나왔다.
특검팀은 정유라씨의 이화여대 ‘학사농단’과 관련해 최경희 전 이대 총장에 대해 업무방해 및 위증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권지혜 나성원 기자 jhk@kmib.co.kr
朴측, 탄핵 심판·특검 수사에 강공 선회
입력 2017-01-22 18:10 수정 2017-01-23 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