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브리핑] 해외發 불확실성, 어떻게 대처할까

입력 2017-01-22 18:10
설 연휴가 시작되기 전날인 26일 대외경제장관회의가 열린다. 이 회의에서 정부의 올해 대외경제정책 방향이 결정된다.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외 상황은 좋지 않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Hard Brexit·완전한 유럽연합 탈퇴) 등 불확실성이 높다.

한국은행은 25일 지난해 4분기와 지난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속보치를 발표한다. 지난해 우리 경제는 2.7% 안팎으로 성장한 것으로 관측된다. 한은은 지난해 7월 성장률 전망치를 2.7%로 내린 뒤 이를 바꾸지 않았다.

문제는 올해도 2%대 성장이 예상되면서 우리 경제의 ‘2%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된다는 데 있다. 이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 하락을 의미한다. 잠재성장률은 인플레이션(경기 과열) 우려 없이 가용자원을 적정 투입해 낼 수 있는 최적의 성장률이다. 한은은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3.0∼3.2% 수준으로 추정했었다. 하지만 빠른 속도의 고령화, 생산성 정체, 경기 장기침체 등을 고려하면 최근 잠재성장률이 더 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경제의 기초체력이 나빠진 셈이다.

또 한은은 24일 ‘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내놓는다.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4월과 같은 수준(94.2)으로 떨어졌다. 7년8개월 만에 최저치였다. 이런 체감경기와 소비자심리가 얼마나 나아졌을지, 더 나빠졌을지가 관심이다. 통계청은 24일 ‘2016년 양곡소비량 조사’를 발표한다. 쌀 소비량은 매년 감소세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