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오바마 행정부 고위 관료 50명 잔류 요청

입력 2017-01-21 02:0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을 하루 앞둔 19일(이하 현지시간) 워싱턴DC 링컨기념관에서 열린 취임 축하 콘서트에 참석, 양손을 뻗어 시민들을 가리키고 있다. 옆에 선 퍼스트레이디 멜라니아는 밝은 미소를 띤 채 시민들을 향해 박수를 치고 있다. 뒤편엔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대통령인 16대 에이브러햄 링컨 동상이 보인다. 트럼프는 20일 낮 12시 의사당에서 취임선서를 하면서 제45대 미국 대통령으로 역사적인 첫발을 내디뎠다. AP뉴시스

20일(현지시간) 임기가 시작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0여명의 버락 오바마 전임 행정부 고위 관료에게 ‘정부의 연속성(continuity of government)’을 위해 잔류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이 밝혔다.

의회전문매체 더힐에 따르면 잔류 요청을 받은 인사 중에는 대테러, 국방 분야 전문 관료가 다수 포함됐고 대북 정책을 담당한 고위 관료도 이름을 올려 차기 미국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오바마의 대테러 정책을 강력히 비판해 온 트럼프가 이들과 함께 일하겠다고 선언한 것은 예상 밖의 일이라고 더힐은 덧붙였다.

트럼프는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척결을 위한 동맹군 대통령 특사인 브렛 맥거크, 국가대테러센터 국장 닉 라스무센, 재무부 테러·금융정보담당 차관대행 애덤 주빈, 국방부 부장관 로버트 워크, 국무부 정무차관 토머스 섀넌 등에게 잔류를 제안했다.

주빈은 재무부 대북 경제제재 담당으로 지난해 7월과 지난 11일 두 차례에 걸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그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부부장을 인권유린 혐의로 제재대상에 올린 일을 주도했다.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 지명자가 인준받을 때까지 재무장관 역할도 대행한다. 섀넌 정무차관도 지난해 1월 방한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 등을 외교부와 논의했다. 맥거크는 조지 W 부시 행정부 때부터 이라크·아프가니스탄 정책 자문역을 맡았다. 이외에도 마약단속국(DEA) 척 로젠버그 국장, 백악관군사실(WHMO) 대브니 컨 국장, 코디 킨슬러 재무부 차관보 등이 트럼프 행정부에 남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정부는 향후 10년간 10조5000억 달러(약 1경2279조원)의 연방 정부 지출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이 지난해 공개했던 초안을 토대로 상무부와 에너지부 조직 규모를 대폭 축소하고 국무부, 법무부, 교통부 예산도 감축할 계획이다. 여기엔 공영방송공사(CPB)를 민영화하고 국립예술재단과 국립인문재단을 폐지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