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물가’가 치솟자 정부가 4년 만에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 격인 생산자물가가 1년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오르는 등 당분간 물가 ‘고공비행’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갖고 최근 물가동향 및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정부는 올해 물가가 예상대로 1%대 안정세를 유지하겠지만 서민생활 밀접품목 등을 중심으로 체감물가가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유가 등 원료비 상승을 빌미로 라면 등 일부 생필품이 가격 인상을 주도한다고 판단했다.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대다수 가공식품에서 유가를 포함한 원료비 비중은 10%대에 불과하다”면서 “최근 물가 상승은 정상적인 원료비 반영과는 괴리감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일단 정부는 설 물가 안정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생활물가를 일일 단위로 점검키로 했다. 지방 공공요금 인상을 억누르고, 가공식품의 경우 소비자단체와 함께 가격 감시활동도 강화한다.
정부는 또 계란값 안정을 위해 미국, 호주 외에 수입 국가를 다변화한다. 미리 비축한 냉동 축·수산물을 조기 방출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담합 등 부정한 방법으로 가격을 올리는 행위를 집중 단속할 방침이다.
정부의 ‘물가 잡기’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0.79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0.8% 상승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해 8월부터 5개월 연속 오르면서 2015년 7월(101.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 됐다.
세종=이성규 기자, 그래픽=박동민 기자
‘성난 물가’ 정부, 4년 만에 관계장관회의
입력 2017-01-19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