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률(57)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이 최순실(61·수감 중)씨가 설립한 스포츠마케팅 업체 더블루케이의 조모(58) 전 대표를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로 만났다고 19일 헌법재판소에서 증언했다. 그는 조 전 대표의 이름과 연락처를 박 대통령에게 직접 받았다고 밝혔다. 조 전 대표는 지난해 1월 20일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와 받지 않았는데, 이후 교문수석실 비서라고 자신을 밝히는 이로부터 “수석께서 전화하고 싶어 하는데 받으십시오”라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전 수석은 박 대통령이 더블루케이와 업무제휴 관계를 맺게 되는 스위스의 건설업체 누슬리를 평창 동계올림픽 시공사로 검토하라고도 지시했다고 밝혔다. 김 전 수석은 “(대통령이) 전화로 ‘누슬리를 포함해 예산절감 방안을 재검토하라’고 했다”고 증언했다. 이 회사의 이름은 교문수석실이나 문화체육관광부가 아니라 박 대통령으로부터 처음 직접 들었다고 김 전 수석은 말했다. 이후 누슬리는 예산절감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돼 입찰에 실패했고, 조양호 한진 회장이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김 전 수석은 의구심을 갖지 않았다.
박 대통령의 각종 지시사항 중 직접 이름이 언급된 업체는 더블루케이, 누슬리, 미르·K스포츠재단 등 4곳뿐이었다고 김 전 수석은 회고했다. 박 대통령이 자신에게 직접 언급한 국장급 이하 공무원은 “참 나쁜 사람”으로 지목했던 문체부의 노태강 국장, 진재수 과장뿐이었다고 한다. “적절한 시점에 승진을 시켜서 산하단체 임원직에 보임하라”는 지시였는데, 이것이 공무원 해임이 아닌 요직 이동인 줄 알았다는 김 전 수석의 반응에 헌재 재판관들이 탄식했다.
이경원 정현수 기자 neosarim@kmib.co.kr
“朴, 평창올림픽 시공사로 누슬리 검토 지시”… 김상률, 헌재서 밝혀
입력 2017-01-19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