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벤처 육성에 ‘올인’한다. 창업 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실업 문제 등을 해결하겠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18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올해 첫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3조5000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하고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액을 2조3000억원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지난해보다 각각 3000억원, 1000억원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신규 벤처펀드는 정부와 산업은행, 민간기업의 출자를 통해 조성하며 벤처 투자액은 정부의 모태펀드 등을 활용하게 된다.
일자리 대책도 동시에 추진된다. 기재부는 부처별로 배정한 일자리 예산 중 9조8000억원을 조기 집행할 계획이다. 1분기에 전체의 33.5%인 3조3000억원을 집행한다. 이를 포함해 상반기 중 6조1000억원(62.7%)의 집행 계획을 세웠다. 6만2000명의 공공기관 신규채용 인력 중 49.2%인 3만명을 상반기에 채용하는 것 역시 대책의 일환이다. 아울러 청년층을 정규직으로 고용할 경우 기업에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도 상반기에 개정·시행할 방침이다.
정부는 공공기관 신규채용과 창업 지원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부족 현상이 일정부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실업자는 통계 작성 이후 최초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청년 실업률은 역대 최고인 9.8%를 기록한 상황이다. 유 부총리는 “일자리가 곧 민생”이라며 “그동안 추진해 온 청년 일자리 대책을 종합평가해 3월 중 보완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3조5000억 규모 벤처펀드 만든다
입력 2017-01-18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