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파산위기까지 몰리며 ‘전국 채무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던 경기도 용인시가 ‘채무제로’를 선언했다.
정찬민 용인시장은 17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014년 7월 취임 당시 지방채 4550억원, 용인도시공사 금융채무 3298억원 등 총 7848억원에 달했던 채무를 모두 갚았다”고 밝혔다. 이 기간 동안 갚은 이자 363억원까지 포함하면 실제 상환액은 8211억원에 달한다.
정 시장은 다만 “채무제로 대상에 약 3000억원의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된 하수관거 임대료와 경전철 관리운영권 가치상각액 등과 같은 장기 우발부채 등은 제외된다”고 덧붙였다.
이로써 정 시장이 취임 당시 8000억원에 달했던 채무의 ‘임기 내 제로화’를 약속한 이후 불과 2년 반 만에 목표를 달성했다.
시에 따르면 정 시장은 취임하자마자 절체절명의 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긴축재정을 운영하는 등 엄격한 채무관리계획을 세웠다. 5급 이상 공무원은 기본급 인상분을 자진 반납하고 직원들은 맞춤형 복지포인트를 50%나 삭감하는 등 대대적인 경상비 절감에 나섰다.
시민체육공원과 같은 대규모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은 시기를 늦추거나 축소하는 등 사업비를 조정하고 사전재정심사 및 지방재정 투융자사업의 심사제도를 강화해 시급하지 않은 사업을 제한하는 등 대규모 투자사업을 과감히 축소했다.
세수증대를 위해 체납세 징수율을 높이고 유휴 공유재산 매각을 통한 세입을 확대했다. 이자가 높은 차입금은 조기상환하거나 경기도 지역개발기금 등 저리의 차입선으로 전환해 이자를 절감하는 한편 교육과 복지분야 지원도 대폭 줄였다. 특히 정 시장은 역북지구 토지매각을 위해 기업들을 찾아다니며 세일즈 행정을 펴기도 했다.
용인시는 채무제로로 생긴 재정여유분은 빚 때문에 추진하지 못한 교육, 복지, 도시정비 등 3대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하지만 지난해 중앙정부에서 추진한 지방재정제도 개편으로 조정교부금이 줄어들면서 올해 200억원, 2018년 500억원, 2019년 최대 1000억원의 재정손실이 예상됨에 따라 긴축재정 기조는 그대로 유지할 계획이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8000억 빚더미 용인시, 2년6개월 만에 ‘채무 제로’
입력 2017-01-17 2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