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시작 전날인 오는 26일까지 계란 무 배추 쇠고기 돼지고기 사과 배 등 설 상차림 음식 재료 공급이 확대된다. 폭등 조짐을 보이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17일 국회에서 민생물가 점검 당정회의를 갖고 이같이 결정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가격이 급등한 계란은 설 연휴까지 3600만개가 집중적으로 공급된다. 농협 비축물량 600만개, AI 방역대 안의 출하제한 물량 중 문제가 없는 2000만개, 생산자 단체 자율 비축물량 1000만개를 합친 것이 시장에 풀린다.
계란 수입 지원비도 100만원에서 150만원으로 인상된다. 관세율을 낮추는 할당관세 적용도 추진된다. 수입 촉진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키겠다는 의도다. 빠른 수입을 위해 현재 미국 등 5개국으로 한정된 수입국을 태국 등 동남아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이번 주말부터 수입 계란이 유통되도록 위생검사 기간도 단축된다.
당정은 배추 공급량을 하루 260t에서 500t으로, 무 공급량은 210t에서 405t으로 각각 배 수준 늘리기로 했다. 또 농협 하나로마트와 홈플러스, 전통시장을 통해 정부 물량을 직접 공급하거나 할인 판매키로 했다. 사과는 하루 350t에서 850t으로, 배는 300t에서 800t으로 각각 2∼3배 확대 공급하고, 그래도 부족할 경우 추가로 물량을 확대할 방침이다.
축산물인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하루 평균 공급량도 늘어난다. 600t이었던 쇠고기 공급량은 800t으로, 돼지고기는 2483t에서 2979t으로 늘린다. 수산물 역시 정부 비축물량 7200t이 설 연휴 전에 공급된다. 또 직거래장터, 바다마트, 수협쇼핑 등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수산물이 시중가 대비 10∼30% 할인 판매된다.
당정은 또 라면이나 콩기름 등 가공식품 가격 인상을 막기 위해 모니터링도 강화하기로 했다. 회의에선 공공요금 인상 억제 방안도 논의됐다. 새누리당은 회의에서 ‘김영란법’의 조속한 개정을 통해 농민들의 어려움을 해소해줄 것을 촉구했다. 또 겨울철 서민들의 어려움을 감안, 전기요금 동결 방안도 제시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설 전까지 계란 3600만개 공급… 무·배추 물량 2배 늘린다
입력 2017-01-17 17:36 수정 2017-01-17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