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企銀·産銀 공기업 지정 안될 말”… 금융노조, 강력 반발

입력 2017-01-18 00:01
정부가 기업은행과 산업은행을 공기업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노동조합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안에 공기업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기업은행지부는 17일 성명서를 내고 “기업은행이 공기업으로 지정된다면 정부의 입김에 좌지우지되는 허수아비 공기업이 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기업은행이 중소기업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서민들에게 꼭 필요한 은행이 되기 위해서는 자율적인 경영이 필수”라며 “자기 사람 앉을 자리 만들고 싶어 갖은 핑곗거리를 만들고 있는 악질적인 행태”라고 꼬집었다.

산업은행 노조도 “공기업 지정은 한국전력과 같은 독과점 기업에 적용하는 잣대”라며 “시장에서 은행업을 하는 산업은행에 맞지 않는 규제”라고 반발했다.

기재부는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된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을 공기업으로 지정하고, 산은캐피탈과 IBK자산운용 등 자회사를 기타공공기관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25일 혹은 31일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공기업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기재부는 매년 1월 말 공운위를 열어 공공기관의 신규 지정, 해제, 분류 변경 등을 결정한다. 공공기관은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으로 분류된다. 기타공공기관은 정부의 경영평가를 받지 않고 이사회 운영, 임원 임명 등에서 자율성이 보장돼 정부의 통제가 가장 적다. 기재부 관계자는 “정부가 지분을 보유하고 총수입의 절반 이상이 자체 수입이기 때문에 (두 은행은) 공기업이 될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기업은행은 부행장 인사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배용덕 김창호 오혁수 최현숙 지역본부장을 부행장으로 내정하고 7명의 신임 지역본부장을 선임했다. 기업은행은 “성과와 역량 중심으로 승진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핀테크나 비대면채널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미래채널그룹을 신설하고 글로벌사업부를 본부장급으로 격상했다. 또 5개 부서 7개팀을 통폐합해 본부를 슬림화하고 영업현장에 인력을 배치했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