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삼척·동해시, 영월·정선군 등 강원남부권 5개 시·군이 음식물 폐기물을 공동으로 처리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광역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인접한 지방자치단체가 사업부지와 건립비를 분담해 혐오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상생 발전하는 성공적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태백시는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광역화사업에 대한 기본 및 실시설계에 착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사업에는 국비 135억원, 도비 29억원 시·군비 28억 등 총 192억원이 투입된다. 내년 하반기 착공해 2019년 연말쯤 완공될 예정이다. 시·군비는 사업 부지를 제공하는 태백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시·군이 공동 부담한다.
음식물 폐기물 처리시설은 태백시 통동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3500㎡ 규모로 지어진다. 이 시설은 태백 13.1t, 동해 31.9t, 삼척 15.6t, 영월 8.7t, 정선 10.8t 등 하루 80t 가량을 처리할 수 있다.
태백시는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로 전기를 생산해 시설운영에 사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연간 2억원의 운영비를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시·군이 이 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것은 시설비 중복투자로 인한 예산낭비를 막는 것은 물론 지역 간 상생교류 확대, 주민복지 향상, 혐오시설 설치에 따른 주민 반발 민원 해소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태백시는 음식물 폐기물량 분담비를 기존 대비 연간 2억원씩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처리시설이 없어 민간업체에 위탁을 맡기고 있는 동해·삼척·정선군은 t당 12만원씩 지출하던 처리비용을 t당 4만원 가량 아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태백시는 시설 주변 주민들을 위해 연간 운영비의 10%를 출연, 주민 소득향상과 복리증진을 위해 사용할 계획이다.
김일동 태백시 환경시설담당 계장은 “음식물 폐기물 광역화시설 운영으로 5개 시·군 모두가 시설 건립비용과 운영비 부담 문제 등을 덜 수 있게 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면서 “인접한 지자체가 상생 발전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태백=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태백·삼척·동해·영월·정선 5개 시·군, 음식 폐기물 공동 처리시설 본격 추진
입력 2017-01-17 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