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윤리위원회가 서청원 최경환 윤상현 의원 등 친박(친박근혜)계 핵심 3인방에 대한 징계 절차에 착수했다.
윤리위는 16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류여해 윤리위원은 “국민적 공분을 일으킨 점이나 부적절한 처신에 대해 책임을 묻는 것”이라고 말했다. 징계 수위는 소명 절차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징계 결정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진행 중이어서 보류했다.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번 주 중 인적 쇄신을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인 위원장은 친박 3인방 징계 수위에 대해 “제명과 탈당 권유도 배제할 수 없다”고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새누리당이 상임전국위를 열어 당원권 정지 기간을 현행 1년에서 3년 이하로 연장하는 당규 개정안을 의결한 것도 친박 핵심을 겨냥했다는 해석이 많다. 당원권이 정지되면 2020년 4월 21대 총선에서 공천받기가 어려워진다. 윤리위 징계 중 제명과 탈당 권유는 의원총회에서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하지만 당원권 정지는 윤리위 의결만으로 확정된다. 비대위는 이날 이정현 전 대표와 정갑윤 전 국회부의장이 낸 탈당신청서를 수리했다. 오는 24일 바른정당 창당 전에 가시적 성과를 내보여 추가 탈당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새누리당 지도부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등은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만찬을 함께했다. 당정은 2시간20여분간 덕담을 주고받고 화합을 다짐했다. 면천 두견주를 곁들여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고 한다.
황 권한대행은 “국가가 위기상황인 만큼 과거에 집착하지 말고 미래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자”고 당부했다. 또 “정치권의 협조 없이는 국민 안정을 꾀할 수 없다”며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새누리당 김명연 대변인이 전했다. 인 위원장은 “당내 잡음을 개혁을 위한 진통이라고 생각하고 국난극복의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그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에 대해서도 “우리가 매달리지 않는다. 새누리당으로 와서 검증을 받는다면 다 열어놓고 기다리겠다”고 언급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서청원·최경환·윤상현’ 징계 절차 착수
입력 2017-01-16 17:47 수정 2017-01-17 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