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 ‘냄새갈등’ 없어질까

입력 2017-01-16 17:25 수정 2017-01-16 21:33

정부가 냄새 없는 축산농가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 분뇨 등 축산 냄새로 전국 곳곳에서 빚어지는 갈등이 줄어들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16일 발표한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 추진 대책’에 따르면 환경친화적 축산농장인 ‘깨끗한 축산농장’이 2016년 500가구에서 2025년 1만 가구로 확대된다. 깨끗한 축산농장은 높은 환경친화 등급을 받은 농장에 부여되는 호칭이다. 1만 가구는 규모화된 축산농가가 2만8000가구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전체의 35% 수준이다.

지역 단위 가축 분뇨 처리 시설의 광역화·규모화도 추진된다. 가축 분뇨를 에너지로 바꾸는 공동 자원화 시설을 2015년 84곳에서 2025년 15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돼지 분뇨의 30%가 처리될 수 있는 규모다. 또 공공처리 비중을 2016년 30%에서 2025년 50%까지 늘릴 예정이다.

고품질 퇴·액비 생산을 위해 공동 자원화 시설의 비료생산업 등록 의무화 및 퇴·액비 성분 분석기기 보급이 추진된다. 퇴·액비 수요처는 현재 일반 농경지 중심에서 시설원예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축산환경관리원을 축산 환경 전문 컨설턴트 등 전문인력 양성 기관으로 지정해 축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키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냄새 관리 등 근본적인 축산 환경 개선이 그동안 미흡했다”며 “귀농·귀촌 활성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진행되면서 축산 냄새로 인한 지역주민과 축산농가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번 대책을 통해 축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상당히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