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이 15일 전당대회를 열고 새 지도부를 선출했다. 박지원 당대표와 4명의 최고위원으로 구성된 이번 지도부는 19대 대통령 선거 준비가 주된 과제다. 안철수 전 공동대표를 비롯한 당내 주자와 당 밖의 주자들을 한데 묶어 경선을 치러 대선 후보를 뽑고, 궁극적으로는 집권을 하겠다는 게 목표다.
국민의당의 스타트로 여야 정치권은 본격적인 대선전에 돌입하게 됐다. 새누리당에서 쪼개져 나온 바른정당은 오는 24일 공식 창당하며 이 당 소속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25일 나란히 대선 출마를 선언한다. 제1당 더불어민주당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민주당은 27일 설 연휴 전에 예비후보 등록을 마감하고 당을 대선 체제로 전환키로 했다. 지지율 1위를 달리는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도 지지 모임인 더민주포럼을 발족했으며 지난 12일 귀국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도 천안함기념관을 방문하는 등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친박 핵심에 대한 인적 청산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새누리당에서도 이날 이인제 전 의원이 대선에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의 이 모든 움직임은 조기에 대선이 치러진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현재 심리 중인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를 인용할 것으로 보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탄핵될 경우 60일 내에 대선이 치러지게 되는 만큼 지금부터 준비해도 빠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야와 대선주자들이 그리 판단해 선거 전략을 짜고 캠페인에 들어가겠다면 거기에 맞는 수권 능력과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야 한다. 역대 대선에 비해 기간이 짧다고 해서 얼렁뚱땅 넘어가려 해서는 안 된다.
우선 비선실세의 국정농단으로 초래된 국가적 위기 사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에 대한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 여태껏 여야와 대선주자들은 촛불민심에 기대고 끌려간 측면이 크다. 이제는 국민적 요구에 정치권이 답할 차례다. 또 집권 비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일이다. 대선전의 막이 오른 이상 각 당과 주자들은 정치, 경제, 외교·안보 등 분야별로 국정 플랜을 국민 앞에서 설명해야 한다. 정권을 잡으면 대한민국을 어디로, 어떻게 이끌어갈지 제시하고 지지를 받아야 한다는 얘기다.
그런데 벌써부터 우려가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정치권의 이합집산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소신과 정책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나무랄 일이 아니지만 오로지 집권만을 쫓아 뭉치는 것은 국민의 정치 혐오증만 키울 뿐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재원 조달 방안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되지 않은 채 쏟아질 포퓰리즘 공약도 걱정된다. 출발선에 선 각 당과 대선주자들의 비상한 각오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사설] 막 오른 조기 대선전, 후보들 수권 능력부터 보여라
입력 2017-01-15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