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GIST) 엄수현(사진) 교수 연구팀이 세포의 모양 유지와 이동, 분열 등 세포 생존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 골격 조절 단백질인 EFhd2의 고해상도 3차원 구조와 작용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EFhd2는 세포 가장자리의 운동성 돌기 부분에 발현하는 단백질이다. 과발현되면 세포 이동속도가 증가해 암세포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 또 타우 변이체와 응집돼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연구팀은 생체고분자결정의 X선 회절 패턴을 분석하는 X선 결정학 기법을 이용해 EFhd2에 칼슘이 결합했을 때와 결합하지 않았을 때의 3차원 구조를 밝혀냈다. EFhd2의 액틴 결합 부위에는 칼슘 결합에 필수적인 EF-hand 도메인이 있다. 여기에 칼슘이 결합하면 구조가 안정화되며 액틴 다발 형성유도가 가능해졌다. 칼슘 결합 여부에 따른 동역학적 구조변화로 세포골격 조절 기능이 발현됐다.
엄 교수는 “암세포 전이 저해를 목적으로 하는 항암제 개발과 알츠하이머, 치매 등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 지난달 15일자에 게재됐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GIST 엄수현 교수 연구팀, 세포 생존 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 첫 규명
입력 2017-01-15 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