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한반도 주변 4강인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주재 대사 등 핵심 공관장을 불러 긴급회의를 연다. 미국 신행정부 출범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에 대한 중국의 보복, 위안부 소녀상을 둘러싼 한·일 갈등, 북한 도발 위협 등 급박하게 돌아가는 한반도 정세를 논의하기 위해서다. 주요국 주재 대사를 따로 불러 별도 회의를 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황 권한대행은 1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안호영 주미 대사와 김장수 주중 대사, 이준규 주일 대사, 박노벽 주러시아 대사 등 미·중·일·러 주재 공관장과 조태열 주유엔 대사와 함께 한반도·동북아 정세 점검 및 대책회의를 갖는다고 총리실이 15일 밝혔다. 오후에는 외교부 청사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 주재로 추가 회의가 열린다.
한국이 당면한 최대 외교 현안은 오는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이다. 트럼프 당선인 측은 한·미동맹과 대북정책의 중요성에 동의한 바 있지만 신행정부의 동아시아 정책이 과연 우리 국익에 부합하는 방향인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여전하다.
여기에 중국은 한반도 사드 배치에 반발하며 보복 수위를 높이고 있고, 위안부 소녀상을 둘러싼 한·일 외교 갈등도 아직 수습되지 않은 상황이다. 북한도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직접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를 예고하는 등 도발 위협을 이어가고 있다. 공관장 회의에선 이들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부산 위안부 소녀상 설치를 이유로 일시 귀국했던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 일본대사가 이번 주 중 서울로 돌아올 전망이라고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윤 장관이 지난 13일 국회에서 위안부 소녀상에 부정적 발언을 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일본 언론들은 분석했다. 나가미네 대사의 귀임 시점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태평양 연안 4개국 순방을 마치고 돌아오는 17일 이후 결정될 것으로 전해졌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황교안 대행, 1월 16일 한반도 정세 논의… 美·中·日·러 주재 대사 불러 긴급회의
입력 2017-01-15 17:45 수정 2017-01-15 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