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농단 가담자들로부터 포스코 계열사 ‘포레카’의 지분을 넘기라고 강요받았던 중소 광고업체 대표가 본인의 신상에 문제가 생길 것에 대비해 직원에게 ‘협박의 증거’를 남겼다는 증언이 나왔다.
해당 직원은 법정에 나와 이번 사건이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씨를 정점으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차은택씨 등이 주도한 ‘회사 강탈 게이트’라고 규정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부장판사 김세윤) 심리로 13일 열린 차씨 등 피고인 5명의 2차 공판에 컴투게더 직원 주모씨가 증인으로 출석해 이렇게 주장했다.
주씨는 “2015년 말쯤 한상규 대표가 녹음파일이 담긴 USB를 하나 주며 ‘내 신상에 혹시 무슨 일이 생기면 그때 쓰일지 모르겠다. 잘 보관하라’고 했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포레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뒤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 등으로부터 지분 양도 협박을 받았었다.
주씨는 녹음파일에서 송 전 원장이 “재단이라는 게 있는데 형(한 대표)을 묻어버리라고 했다고 한다. 말을 안 들으면 세무조사까지 할 수 있다고 했다”고 말한 것으로 기억했다. 검찰은 주씨가 피해 상황을 정리해 작성했다는 ‘포레카 게이트 관계도’와 ‘포레카 게이트 타임 테이블’도 제시했다. 여기에는 광고사 강탈을 시도한 주요 인물로 VIP(박 대통령)와 최씨가 맨 위에 있고, 그 밑으로 각각 안 전 수석과 차씨가 표시돼 있었다.
주씨는 “컴투게더가 포레카를 인수한 뒤 2015년 11∼12월 금융위원회 광고를 수주하려다 실패했다”며 “안 전 수석이 금융위 광고 관련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컴투게더는 안 된다고 말한 걸로 안다”는 증언도 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포레카’ 지분 포기 강요 받았던 중소업체 대표, 신상 이상 대비 직원에 ‘협박 증거’ 남겨
입력 2017-01-13 18:17 수정 2017-01-13 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