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12일 귀국한 직후 자신을 둘러싼 여러 의혹을 적극 해명했다. 대선 출마가 유엔 협약 및 공직선거법 위반이라는 지적은 인정하지 않았고, 23만 달러 수수 의혹에는 “내 이름이 왜 등장했는지 모르겠다”고 적극 방어했다.
반 전 총장은 기자회견 후 한·일 위안부 피해자 합의에 대한 입장을 묻자 “궁극적인 완벽한 합의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한을 풀어줄 수 있는 수준이 돼야 한다”고 답했다. 다만 재협상을 해야 한다는 것인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반 전 총장은 위안부 합의 직후 이를 ‘환영’했던 데 대해선 “평화적 분쟁 해결 노력을 해온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양국의 오랜 현안에 합의가 이뤄졌다는 점을 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합의 직후인 지난해 1월 초 박근혜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대통령이 비전을 갖고 올바른 용단을 내린 데 대해 역사가 높게 평가할 것”이라고 치켜세운 적이 있다.
반 전 총장은 대선 출마가 유엔 협약 위반이라는 정치권 일각의 주장도 적극 반박했다. 1946년 채택된 유엔 협약은 ‘유엔 사무총장은 퇴임 직후 정부 고위직을 맡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권고 조항이지 강제력은 없다. 반 전 총장은 “개인적으로는 이 조항이 정치적 행보, 선출직 행보를 막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이 문제에 관한 유권 해석은 유엔 당국에서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넘겼다. 대통령 후보 자격으로 ‘대한민국 5년 거주’를 명시한 공직선거법 얘기가 나오자 “그건 좀 실망스럽다”고 받아쳤다. 그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출마 자격이 된다고 유권 해석했다”며 “이 문제를 자꾸 제기하면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반 전 총장은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23만 달러를 받았다는 의혹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고 내 이름이 왜 거기에 등장했는지 알 수 없다. 제 말이 진실에서 조금도 틀림없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그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서울역으로 이동하는 공항철도 안에서도 “저와 관련된 의혹은 전부 다 근거 없는 의혹들”이라며 “제가 현직 사무총장으로 있을 때 국내 문제로 (저를) 헐뜯고 비방하는 건 한국 전체에 침을 뱉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 50여년간 공직자로 일하면서 양심에 부끄러운 일을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23만달러 의혹에… 반기문 “제 이름 왜 거기에 있는지 몰라”
입력 2017-01-12 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