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대 해체’를 내세우며 교육개혁에 시동을 걸었다. 박 시장뿐 아니라 다른 야권 대선주자들도 경선 후보 등록 전부터 재벌개혁·지방분권·복지확대 등 대표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각 주자들이 여론 향배를 좌우할 설 연휴를 앞두고 ‘밥상 민심’을 선점하려는 경쟁에 나섰다는 평가다.
박 시장은 12일 국회에서 교육혁명 토론회를 열고 “학벌사회의 정점에는 서울대가 있다”며 “서울대를 사실상 폐지하고 프랑스의 통합 국립대처럼 국·공립대 통합캠퍼스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프랑스가 통합 국·공립대 체계로 파리 1∼13대학을 운영하는 것처럼 서울대와 지방의 국·공립대를 묶어 서열화된 입시경쟁을 없앤다는 구상이다. 박 시장은 또 “국·공립대 반값등록금을 즉시 시행하고, 무상교육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직업교육제도를 혁신해 ‘대학 안 가도 잘 먹고 잘사는 시대’를 만들겠다”고 했다.
다른 야권 주자들도 대표 정책을 제시하며 본격적인 레이스에 뛰어들었다.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국가정보원을 해외안보정보원으로 개편하는 등의 권력기관 개혁과 4대 재벌(삼성·현대차·SK·LG) 개혁을 적폐 해소방안으로 이미 내놓았다. 문 전 대표는 싱크탱크인 ‘국민성장’뿐 아니라 각계 명망가·전문가로 구성된 ‘더불어포럼’을 꾸리는 등 대선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더불어포럼은 군사독재 시절 민주화 인사들을 지원했던 채현국 효암학원 이사장이 상임고문을, 김응용 전 한화이글스 감독과 안도현 황지우 시인 등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국회·청와대 등을 세종시로 이전하고, 지방정부 권한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재명 성남시장도 대기업과 초고소득자 증세로 재원을 마련해 국민 2800만명에게 연간 100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의 복지 구상을 밝혔다.
주자 간 ‘책 전쟁’도 치열하다. 민주당 김부겸 의원은 다음달 중순 ‘공존경제’ 비전을 담은 저서를 출간할 계획이다. 문 전 대표도 설 연휴 전에 국가 비전을 담은 대담집을 낸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사진= 최종학 선임기자
野 잠룡들 공약 전쟁, 서울대 해체·지방 분권·복지 확대…
입력 2017-01-12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