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배출가스 조작이 들통 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AVK) 일부 차종에 대해 결함시정(리콜) 계획을 승인했다. 리콜을 통해 배출가스를 줄이더라도 차량 성능과 연비가 크게 떨어지지 않도록 기술적으로 보완했다고 판단했다.
AVK는 보상 차원에서 국내 고객 27만대 차주에게 100만원 상당의 쿠폰 등을 제공키로 했다. 하지만 차주들은 ‘폭스바겐 봐주기’라며 차량 교체를 요구하고 있어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환경부는 12일 “티구안 2개 차종 리콜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배출가스 조작이 드러난 폭스바겐·아우디 차량은 15개 차종 12만6000여대다. 인증취소(판매정지), 과징금 141억원이 부과됐고 리콜 명령이 내려졌다(표 참조). 리콜이 승인된 티구안 2.0 TDI 3237대, 티구안 2.0 TDI BMT 2만3773대는 다음달 6일부터 리콜이 이뤄질 예정이다.
AVK의 리콜 계획은 환경부로부터 세 차례 퇴짜(2015년 12월, 지난해 2·6월)를 맞았다. 배출가스 조작 소프트웨어를 제거해 배출가스를 줄여도 성능과 연비가 떨어지지 않아야 가능했는데 ‘4수’ 끝에 통과됐다.
먼저 불법 소프트웨어를 떼고 정상 소프트웨어로 교체한다. 또 연소 효율과 차량 성능을 높이기 위해 연료 분사압력을 높이고, 1회 연소행정(흡기-압축-연소·팽창-배기)마다 1회 분사 방식에서 2회 분사 방식으로 바꿨다. 일부 차종에는 공기 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장치를 추가 장착한다. 차량 1대당 리콜에 걸리는 시간은 24분 정도다.
환경부가 검증해 보니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실내 환경에서 28∼59%, 도로주행 시 20∼33% 줄었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40·60·100㎞ 도달 시간을 나타내는 가속능력과 40·60㎞에서 경사를 오르는 등판능력 모두 큰 차이가 없었다. 도로 주행 시 연비는 1.7% 줄어 과징금 기준인 5%를 밑돌았다.
AVK는 픽업·배달서비스, 교통비 제공, 100만원 상당의 쿠폰을 제공해 85% 이상 리콜을 받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홍동곤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기술적 보완이 가능한 것으로 검증돼 나머지 13개 차종도 리콜이 원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폭스바겐 ‘리콜’ 4수 끝에 승인
입력 2017-01-13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