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받는 ‘安자강론’… 호남중진은 “글쎄”

입력 2017-01-11 17:44 수정 2017-01-11 21:21
지난해 총선에서 홍보비 리베이트 등 불법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국민의당 소속 박선숙 의원(왼쪽)과 김수민 의원(오른쪽)이 11일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열린 1심 선고공판 출석에 앞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두 의원은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이 사건으로 ‘새정치’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던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는 “정권 차원의 안철수와 국민의당 죽이기라는 것이 증명된 판결”이라고 평가했다. 뉴시스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최측근인 박선숙 의원이 11일 ‘20대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사건’ 1심 판결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안 전 대표는 “(검찰 수사는) 정권 차원의 안철수와 국민의당 죽이기였다”며 검찰을 비판했다.

안 전 대표는 ‘최측근 비리’라는 짐을 덜자마자 당내 리더십 복원에 나섰다. 시도당 개편대회를 돌며 자강론 띄우기에 집중했다. 리베이트 의혹 사건이 불거진 지난해 6월은 안 전 대표에게 창당 후 가장 험난한 순간이었다. 4·13총선에서 38석을 확보하며 일으킨 ‘녹색 돌풍’이 한순간에 사라졌다. ‘새 정치’ 이미지는 사라지고 지지율은 급락했다. 안 전 대표는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물러났으며 준비 중이던 당 혁신 작업도 ‘올스톱’됐다. 호남 출신 박지원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전면에 섰지만 국민의당은 당시 더불어민주당에 내준 호남 지지율 1위 자리를 되찾지 못하고 있다. 한 당직자는 “창당 후 가장 뼈아팠던 사건”이라고 했다.

안 전 대표 측은 법원의 무죄 판결이 안 전 대표의 리더십 강화와 지지율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신감을 다소 얻은 안 전 대표는 인천·서울시당 개편대회에 참석해 “이 자리에서 정치공학적 연대론의 시나리오를 완전히 불사를 것을 선언한다”며 자강론을 더 강하게 주장했다.

안 전 대표는 선고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시 수사는) 정권 차원의 안철수와 국민의당 죽이기라는 것이 증명된 판결”이라며 “국민이 이 부분을 평가해줄 것이라 믿는다”고 했다. 이어 “‘우병우 기획수사’였다는 말이 있다. 이에 대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했다. 강도 높은 검찰 개혁도 추진키로 했다.

앞서 이날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1부(부장판사 김양섭)는 지난해 제20대 총선 과정에서 홍보업체 두 곳으로부터 2억1620만원의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 등)로 기소된 박선숙 의원과 김수민 의원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같은 사건으로 기소된 국민의당 왕주현 전 사무부총장과 숙명여대 김모 교수 등 5명도 무죄를 선고받았다.

재판부는 “핵심 증인의 진술에 일관성이 없고, 김 의원 등이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당 비선 홍보 조직으로 활동했다는 점이 증명됐다고 보기 힘들다”며 검찰 공소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 김 의원 등이 당 소속으로 일했으며, 따라서 업체로부터 받은 돈이 당으로 유입됐다는 검찰 판단을 재판부가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 박 의원과 왕 전 부총장은 리베이트 사건을 기획·실행했다는 혐의를 받아왔다.

이번 판결로 일단 안 전 대표가 힘을 받는 모양새지만 호남 중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대선 ‘연대론’ 역시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들은 안 전 대표만으로는 대선에서 승리할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호남에서 팽배하다는 것을 연대 이유로 든다. 한 호남 의원은 “당원 상대로는 자강론이 먹히겠지만 곧 현실에 직면할 것”이라며 “안 전 대표가 모든 것을 내려놓고 문호를 개방해야 승리할 수 있다”고 했다.

문동성 이가현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