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탄두 제조 원료인 플루토늄을 50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플루토늄 보유량이 50여㎏으로 추정된 것은 2008년 이후 8년 만이다. 핵무기를 10여개 만들 수 있는 분량으로, 북한 핵위협이 한층 고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방부는 1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 국방백서’를 발간했다.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은 최근 수년간 영변의 핵연료 재처리시설 등을 가동하면서 수차례 폐연료봉 처리를 통해 10여㎏의 플루토늄을 추가 확보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영변 원자로의 가동 및 정지 시점, 폐연료봉 재처리 동향과 핵실험으로 소모된 양을 고려해 플루토늄 보유량 추정치를 계산했다”고 말했다. 북한의 플루토늄 보유량은 2008년 국방백서에서 40여㎏으로 추정된 뒤 2014년까지 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 플루토늄 외에 고농축우라늄(HEU) 프로그램을 통해 핵탄두 제조 능력을 진전시키고 있으며 핵탄두 소형화 기술도 상당수준에 오른 것으로 평가됐다.
국방백서는 이와 함께 미국 본토를 위협할 수 있는 미사일 개발을 위해 2012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KN-08을 3차례, KN-14를 1차례 공개했다고 밝혔다. 국방백서에서 북한 ICBM이 언급된 것은 처음이다.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 계열인 사거리 1000㎞의 스커드-ER을 확보한 사실도 이번 백서에 처음 명시됐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위협도 처음으로 언급됐다.
북한군 병력은 핵미사일 전력을 전담하는 1만명 규모의 ‘전략군’이 편성되는 등 120만에서 128만으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국방백서는 2년마다 발간된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北, 플루토늄 50여kg 보유 추정”
입력 2017-01-11 18:03 수정 2017-01-11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