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강릉시·평창군·정선군이 2018평창동계패럴림픽대회를 위한 ‘무장애 관광도시’로 변모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1일 행정자치부, 국토교통부, 평창조직위원회, 한국관광공사, 강원도 등과 함께 평창동계패럴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무장애 관광도시 창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의 ‘접근성’ 기준에 따라 경기장, 숙박, 선수촌 등과 연관된 대회시설을 준비하는 한편, 개최도시(강릉·평창·정선) 내 일반음식점, 숙박시설, 관광시설 등 ‘장애인 편의시설 의무 설치 시설이 아닌 민간시설’ 1101곳과 공중화장실 62곳에 대한 장애인 접근성을 개선키로 했다.
행자부는 경기장 주변 주요 관광지 등의 노후화되고 불편한 공중화장실 개선을 위한 특별교부세 18억5000만원을 지난달 지원한데 이어 공중화장실을 대상으로 장애인 접근이 용이한 디자인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참가 선수와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수송을 위해 장애인콜택시 구입비 28억원(139대)과 저상버스 구입비 18억원(44대)을 지원할 방침이다.
조직위는 대회 시설에 장애인 관람석(전체관람석 1% 이상)과 경사로, 승강기를 설치하고 패럴림픽 대회 관계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숙박시설 72실을 확보할 예정이다.
남호철 선임기자 hcnam@kmib.co.kr
평창패럴림픽 개최 지역 ‘무장애 관광도시’ 만든다
입력 2017-01-11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