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이어… 中 ‘한국 때리기’ 노골화

입력 2017-01-10 17:40 수정 2017-01-10 21:23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가결로 인한 외교공백 속에 중국과 일본의 한국 때리기가 계속되고 있다. 중국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국 배치를 핑계로 경제·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고 일본은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구하며 외교적 공세에 나선 상황이다.

10일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에 따르면 지난 3일 발표된 ‘2016년 11월 불합격 식품·화장품 명단’ 가운데 수입 허가를 받지 못한 화장품 28개 중 19개가 애경과 CJ라이온, 이아소 등 한국산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합격된 제품은 모두 반품 조치됐다. 나머지 불합격 화장품 9개는 영국산 6개와 태국산 3개였다.

질검총국은 애경 목욕세정제의 경우 제품 성분이 변경됐다며 수입을 불허했다. CJ라이온의 브랜드인 담아와 라이스데이의 샴푸는 다이옥신 함량 초과, 코코스타 장미팩은 신고 제품과 실제 제품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반품조치됐다. 가장 많은 제품이 불합격된 이아소는 로션 시리즈2 세트, 영양팩, 에센스, 각질제거액, 보습 영양크림 등이 유효기간 내 화장품을 이용할 수 있다는 등록증명서가 없다는 이유로 불합격 통보를 받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사드 등의 문제로 인해 한국산 화장품에 대해서도 규제가 강화된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면서 “중국산 로컬 브랜드가 성장하면서 중국에서 인기를 끌어 온 한국 화장품에 대한 견제가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환구시보는 최근 ‘한국이 사드 때문에 화를 자초하고 있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한국이 사드를 배치하면 한국 화장품 불매운동 등 감당할 수 없는 결과가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중국은 사드 배치 발표 이후 한류 연예인의 방송 출연 금지, 롯데 중국법인 사업장의 세무조사 및 소방 점검, 한국행 전세기 운항 불허, 한국산 배터리 보조금 제외 등 보복 분야를 계속 확대해가고 있다. 한 베이징 소식통은 “중국은 앞으로 사드 배치 때까지 단계적으로 강도를 높이는 압박을 지속하겠다는 생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의 군사적 압박도 지속되고 있다. 9일에는 중국 군용기 10여대가 제주 남방 이어도 인근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침범했다. 앞서 지난달 중국의 첫 항공모함 랴오닝호 항모 전단이 젠-15 함재기, 함재 헬기 등을 가동해 서해 부근 해역에서 실탄훈련을 하며 무력시위를 벌였다.

일본 역시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에 항의하면서 지난 6일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대사와 모리모토 야스히로 부산총영사를 일시 귀국시키기로 한 데 이어 한·일 고위급 경제협의와 한·일 통화 스와프 협상 중단을 발표하는 등 초강경 대응에 나섰다.

이를 두고 중국과 일본이 한국 내부의 어려운 정치·경제 상황을 자신들 이익을 관철하기 위한 ‘외교적 지렛대’로 악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