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와 청주시가 KTX 오송역∼세종청사 구간의 불합리한 택시요금 개선에 나선다.
충북도는 세종시의 의지와 관계없이 청주지역 택시만 우선 할증제 폐지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10일 밝혔다.
현재 오송역에서 정부세종청사까지 17.9㎞를 가는 택시요금은 평균 2만360원이다. 역으로 세종청사에서 오송역까지 택시요금은 1만9480원이다. 이 구간은 복합 할증(35%·4720원)과 사업구역 외 할증(20%·2560원)이 추가되기 때문이다. 모든 할증이 폐지될 경우 오송역∼세종청사 택시요금은 1만3920원으로 줄어든다.
서울∼오송 KTX 요금(1만8500원)보다 오송∼세종 택시요금이 더 커 그동안 세종청사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불만이 제기돼왔다.
도는 할증요금 가운데 복합할증을 폐지해 요금을 1만5000원대로 인하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른 택시업계 손실은 도와 시가 카드 수수료 등을 통해 간접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비싼 택시요금은 세종시가 KTX 세종역 신설을 추진하는 주된 이유이기도 하다.
세종역 신설 예정지는 대전·세종 경계지역인 세종시 금남면 발산리 일원으로 오송역과 15㎞, 공주역과 20㎞ 정도 떨어져 있다. 세종역이 신설될 경우 세종시 관문역인 오송역과 공주역의 역할이 크게 위축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와 철도시설공단은 지난해 12월 마무리하기로 했던 세종역 신설 타당성 조사 기한을 오는 4월까지로 연장했다. 충북범도민대책위원회는 11일 세종시 국무총리실을 항의 방문해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에게 면담을 요청하고 KTX 세종역 신설 백지화를 촉구할 예정이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충북도 “오송∼세종 택시할증 폐지 독자 추진”
입력 2017-01-10 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