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10일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상황 악화를 가져올 수 있는 언행은 자제하는 것이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황 권한대행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한·일 양국 관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며 “한·일 양국뿐 아니라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합의의 취지와 정신을 존중하면서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위안부 소녀상 문제로 한·일 관계가 다시 악화된 상황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비롯한 일본 정부에 자제를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위안부 합의 무효화 또는 재협상을 공공연히 거론하는 야권을 간접 비판하는 뜻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황 권한대행 발언은 일본 정부가 주한대사, 부산총영사 귀국 조치를 발표한 지 나흘 만에 나왔다.
황 권한대행은 이어 “(위안부 합의는) 군의 관여 및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 사죄와 반성 표명, 일본 정부 예산을 재원으로 한 화해·치유재단 사업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마음의 상처 치유를 도모한다는 게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조준혁 대변인 정례 브리핑에서 “위안부 문제를 역사의 교훈으로 기억하기에 적절한 장소에 대해 지혜를 모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기존 입장을 다시 내놨다. 지난달 30일 소녀상 설치 당시 밝혔던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이지만 소녀상 이전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조 대변인은 민감한 질문에는 원론적 입장만 되풀이했다. 이날 국무회의에서는 국가 위상을 높인 공로를 인정해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에게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글=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黃 대행 “韓日 관계 악화시키는 위안부 언행 자제해야”
입력 2017-01-10 18:04 수정 2017-01-10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