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세론’에 균열을 내기 위한 이른바 ‘비문(비문재인)’ 연대의 맹공이 거세지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참여정부 시즌2는 안 된다”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를 정면으로 겨냥했고, 이재명 성남시장도 “대세는 깨지기 위한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박 시장은 1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벌 개혁에 실패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킨 참여정부를 재현하는 것으로는 촛불이 요구하는 근본적인 개혁을 이룰 수 없다”며 “참여정부의 비서실장이었던 문 전 대표도 (참여정부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했다.
그는 특히 “차기 정부는 참여정부 시즌2가 아닌 촛불공동정부여야 한다”며 “민주당 특정 정파가 집권에 성공한다고 해도 여소야대가 되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대세론은 강해보이지만 고립된 ‘나홀로 함대’”라며 “권력을 독차지하려는 폐쇄적 행태를 버리지 못하면 촛불혁명을 완수할 수 없다”고도 했다. 야권을 중심으로 공동정부를 구성해 정권을 교체해야만 산적한 개혁 과제를 현실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사실상 ‘범야권 연정’ 카드를 꺼낸 것이다.
이 시장도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편집인협회 초청세미나에서 “일시적 필요에 의해 선택된 후보가 대세를 유지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어떤 미래 비전을 갖고 있는지 국민들이 판단할 계기가 오면 제게 새로운 기회가 올 것”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세론은 없다’는 주장이다.
이 시장은 시종일관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문 전 대표를 ‘높지만 성장하지 않는 나무’로 비유하면서 자신을 “성장하는 나무”라고 설명했다. 대선 경선 룰에 대해서도 “본인(문 전 대표)도 (모든 룰을) 다 받아준다고 하니 최악을 상정할 필요가 없다”며 “(당이) 저 같은 후발 주자들에게 유리한 룰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숙의배심원제’를 대선 경선 방안으로 제안했다. 그는 “2000∼3000명을 모아놓고 대선 후보들이 정책을 제시하고 경선하자는 것”이라며 “경선을 역동적으로 만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글=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文 대세론 깨라” 맹공 나선 후발주자들
입력 2017-01-10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