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우여곡절 끝에 친박계 인적 청산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는데 성공했다. 인 위원장은 위원 6명을 면직시켜 정족수를 줄이는 초강수를 통해 비대위원 임명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핵심 친박계는 ‘편법’이라며 거센 저항을 이어가고 있다. 비대위 진용을 갖춘 인 위원장과 퇴출 위기에 내몰린 핵심 친박계의 힘겨루기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인명진 비대위’는 10일 첫 회의에서 핵심 친박계 인적 쇄신이 1차 과제임을 분명히 했다. 인 위원장은 “아직까지 패거리 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며 자진 탈당을 거듭 압박했다. 출당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문제는 핵심 친박계의 자진 탈당을 기다리기엔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점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설 연휴 전 경선 룰을 만들고 예비후보 등록을 받기로 하는 등 조기 대선 체제에 이미 돌입했다. 바른정당은 출범을 서두르며 보수의 주도권을 잡겠다고 벼르고 있다. 국민들은 새누리당의 내부 갈등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 이런 탓에 인명진 비대위가 조기에 결과물을 내놓지 못한다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혁신에 속도가 필요한 것이다.
새누리당 소속 의원 99명 중 절반 이상이 인적 쇄신에 지지를 표시했고, 인명진 비대위도 상임전국위를 통해 정통성을 확보한 만큼 핵심 친박계의 강제 퇴출도 고려해 봄직하다. 윤리위를 통한 ‘탈당 권유’가 그것이다. ‘제명’은 의원총회에서 3분의 2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지만, 탈당 권유는 윤리위 의결로 해당자에게 통보 후 10일 이내에 자진 탈당하지 않을 경우 지체 없이 제명이 가능하다. 박근혜 대통령의 출당도 공론화할 때가 됐다. 비대위에 청년, 농민, 비정규직 등 취약 지지 계층의 참여를 최대한 확대시켜야 한다. 대통령, 친박계, 기득권층으로 대변되는 기존 새누리당 지지 기반 모두를 갈아엎을 정도의 혁신이 필요하다.
[사설] 간신히 출범한 ‘인명진 비대위’, 갈 길 멀다
입력 2017-01-10 1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