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 청산을 추진 중인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상임전국위원회를 개최해 비대위를 구성하며 핵심 친박(친박근혜)계와의 대결에서 일단 승기를 잡았다.
청산 대상으로 지목된 서청원 의원 등은 이번에도 조직적으로 회의 저지에 나섰다. 인 위원장은 그러나 회의에 불참한 친박계 상임전국위원을 면직하는 방법으로 맞불을 놨다. 인 위원장은 10일 의원총회를 개최하는 등 인적 쇄신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방침이지만, 서 의원은 ‘원천 무효’를 주장하며 맞서고 있어 극심한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인 위원장은 지난 6일 실패했던 상임전국위를 사흘 만에 재소집하며 정면돌파 의지를 드러냈다. 개회 정족수인 23명(정원 45명의 과반)에 한 명이 부족해 5시간가량 회의가 열리지 못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상임전국위에 불참한 여성위원 4명과 청년위원 2명을 면직하는 방식으로 재적위원을 51명에서 45명으로 6명을 줄이는 강수까지 뒀다. 지도부는 출장 후 귀국한 이철우 의원을 인천공항에서 마중해 회의장으로 데리고 오기까지 했다. 핵심 친박의 반발이 계속되는 만큼 이번에도 상임전국위 개최에 실패할 경우 장기전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박맹우 사무총장은 “100% 참석한다고 했다가 말을 바꾼 사람들도 있고, 오다가 사고가 난 사람도 있다”며 “많은 장애물을 넘고 와야 한다. 이곳에 오는 길이 그렇게 험하다”고 비꼬았다. 이어 “조직적 세력이 너무나 상상을 초월하는 방법을 동원해 방해하고 있다”며 “직접 전화하거나 부인까지 동원해 회유·협박하고, 회의장 문 앞에서 가로막고 서는 기가 막힌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핵심 친박들의 반발도 더욱 완강해졌다. 서 의원은 “당헌·당규상 갑자기 상임전국위 정원을 바꾸는 건 불가능하다”며 “정당사에 없던 일로, 원천 무효”라고 반발했다. “공산당에서나 있을 폭거” “인 위원장의 친위 쿠데타” 등 비판 수위도 거셌다.
서 의원은 이날 인 위원장이 탈당을 강요하고 명예를 훼손했다며 정당법 위반 및 명예훼손, 강요,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등 혐의로 검찰에 고소하고, 직무정지가처분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당 분열도 가속화되고 있다. 초선의원 30여명은 “인 위원장의 혁신방향을 적극 지지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지상욱 의원은 초선의원 모임에서 “또다시 줄을 세우고 세몰이하는 사당화 모습을 보여준 인 위원장과 (인적 쇄신의) 원인 제공대상이 된 두 분(서청원 최경환 의원)이 함께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 위원장은 친박계의 반발이 계속될 경우 인적 청산 범위를 놓고 2차 고비를 맞을 가능성도 높다. 인적 쇄신을 서·최 두 의원 탈당으로만 마무리 지을 경우 야권의 비판이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른정당은 인 위원장을 향해 “박근혜 대통령 출당조치부터 우선적으로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당 쇄신이 지연될 경우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귀국과 맞물린 대규모 2차 탈당 가능성도 제기된다.
글=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사진= 김지훈 기자
인명진 ‘인적청산’ 승기… 핵심 친박 저항 뚫기 과제
입력 2017-01-09 18:04 수정 2017-01-09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