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진 ‘인적청산’ 승기… 핵심 친박 저항 뚫기 과제

입력 2017-01-09 18:04 수정 2017-01-09 21:19
정우택 새누리당 원내대표, 안상수 상임전국위 임시의장, 박맹우 사무총장(왼쪽부터)이 9일 국회에서 열린 당 상임전국위원회 회의에서 비대위원 임명안을 통과시킨 뒤 손을 맞잡고 있다. 김지훈 기자

인적 청산을 추진 중인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상임전국위원회를 개최해 비대위를 구성하며 핵심 친박(친박근혜)계와의 대결에서 일단 승기를 잡았다.

청산 대상으로 지목된 서청원 의원 등은 이번에도 조직적으로 회의 저지에 나섰다. 인 위원장은 그러나 회의에 불참한 친박계 상임전국위원을 면직하는 방법으로 맞불을 놨다. 인 위원장은 10일 의원총회를 개최하는 등 인적 쇄신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방침이지만, 서 의원은 ‘원천 무효’를 주장하며 맞서고 있어 극심한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인 위원장은 지난 6일 실패했던 상임전국위를 사흘 만에 재소집하며 정면돌파 의지를 드러냈다. 개회 정족수인 23명(정원 45명의 과반)에 한 명이 부족해 5시간가량 회의가 열리지 못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상임전국위에 불참한 여성위원 4명과 청년위원 2명을 면직하는 방식으로 재적위원을 51명에서 45명으로 6명을 줄이는 강수까지 뒀다. 지도부는 출장 후 귀국한 이철우 의원을 인천공항에서 마중해 회의장으로 데리고 오기까지 했다. 핵심 친박의 반발이 계속되는 만큼 이번에도 상임전국위 개최에 실패할 경우 장기전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박맹우 사무총장은 “100% 참석한다고 했다가 말을 바꾼 사람들도 있고, 오다가 사고가 난 사람도 있다”며 “많은 장애물을 넘고 와야 한다. 이곳에 오는 길이 그렇게 험하다”고 비꼬았다. 이어 “조직적 세력이 너무나 상상을 초월하는 방법을 동원해 방해하고 있다”며 “직접 전화하거나 부인까지 동원해 회유·협박하고, 회의장 문 앞에서 가로막고 서는 기가 막힌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핵심 친박들의 반발도 더욱 완강해졌다. 서 의원은 “당헌·당규상 갑자기 상임전국위 정원을 바꾸는 건 불가능하다”며 “정당사에 없던 일로, 원천 무효”라고 반발했다. “공산당에서나 있을 폭거” “인 위원장의 친위 쿠데타” 등 비판 수위도 거셌다.

서 의원은 이날 인 위원장이 탈당을 강요하고 명예를 훼손했다며 정당법 위반 및 명예훼손, 강요,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등 혐의로 검찰에 고소하고, 직무정지가처분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당 분열도 가속화되고 있다. 초선의원 30여명은 “인 위원장의 혁신방향을 적극 지지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지상욱 의원은 초선의원 모임에서 “또다시 줄을 세우고 세몰이하는 사당화 모습을 보여준 인 위원장과 (인적 쇄신의) 원인 제공대상이 된 두 분(서청원 최경환 의원)이 함께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 위원장은 친박계의 반발이 계속될 경우 인적 청산 범위를 놓고 2차 고비를 맞을 가능성도 높다. 인적 쇄신을 서·최 두 의원 탈당으로만 마무리 지을 경우 야권의 비판이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른정당은 인 위원장을 향해 “박근혜 대통령 출당조치부터 우선적으로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당 쇄신이 지연될 경우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귀국과 맞물린 대규모 2차 탈당 가능성도 제기된다.

글=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사진= 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