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가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 문제를 두고 해외에서도 여론전에 나섰다. 대통령 탄핵심판 사태로 빚어진 한국의 외교공백 상태를 십분 활용하겠다는 속셈으로 읽힌다.
9일 NHK방송에 따르면 유럽을 순방 중인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전날 체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불가역적으로 해결됐는데도 일본 공관 앞에 소녀상이 새로 설치된 사태는 극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위안부 합의는 세계 여러 국가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일본이 10억엔(약 103억원)을 출연해 합의를 이행한 만큼 한국도 착실히 실행해 달라”고 주장했다.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와 모리모토 야스히로 부산 주재 총영사는 이날 일본으로 돌아갔다. 이들은 스기야마 신스케 외무성 사무차관을 만나 향후 대응책을 협의했다.
교도통신은 “이들이 1주일 정도 머물 것으로 보이지만 그 사이 소녀상 철거 움직임이 없을 것으로 전망돼 복귀 시기가 연장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본 시민단체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전국행동’은 성명을 내고 “한국 국민을 분노케 한 것은 ‘돈을 냈으니 소녀상을 철거하라’는 일본정부의 태도”라며 “한·일 합의는 소녀상 철거를 약속한 게 아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치·경제 문제에 결부시켜 제재를 취하는 것은 치졸하다”고 강조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위안부 문제는 일본 군국주의가 2차대전 때 범한 엄중한 반인류적 범죄”라며 “일본 지도자들은 역사 문제를 반성할 때 강자에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데 이러면 진정성이 없어 보인다”고 비난했다.
김미나 기자 부산=윤봉학 기자 mina@kmib.co.kr
日 외무상, 체코서도 ‘위안부 합의’ 압박
입력 2017-01-09 18:02 수정 2017-01-09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