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문화계 ‘블랙리스트’ 존재를 처음 인정했지만 자신과의 관련성에 대해선 “특검에서 저를 왜 빨리 소환조사해서 그런 것들을 밝히지 않는지 의아하다”고 재차 부인했다.
조 장관은 9일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특위 7차 청문회에서 블랙리스트의 존재와 작성 관여 여부에 대해 집중 추궁을 받자 이같이 항변했다. 차라리 특검 조사에 출석해 사실관계를 가리고 싶다는 의미다. 그는 계속되는 의원들의 압박에도 “블랙리스트가 작성·전달된 경위에 대해 전혀 몰라 답변드릴 게 없다”며 기존 입장만 반복했다.
블랙리스트의 존재에 대해서는 마지못해 수긍했다. 국민의당 이용주 의원의 집요한 ‘호통식 추궁’ 때문이었다. 이 의원은 조 장관에게 “나는 한 가지만 묻겠다”고 못 박았다. 그는 다른 질문 없이 5분간 17차례나 “블랙리스트가 있느냐 없느냐”는 질문만 반복했다.
조 장관은 “특검에서 조사 중”이라며 계속 말을 흐리다 나중에는 질려버린 듯 한숨을 내쉬었다. 결국 “명단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답변했다.
조 장관은 오전 청문회에 ‘그간의 증언과 다른 증언을 하면 불리한 진술을 강요받는 것’이라며 출석하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 도종환 의원은 “조 장관이 지금까지 국정감사를 통해 37차례나 위증했다. (블랙리스트 관련) ‘물증을 대봐라’는 뉘앙스의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조 장관은 위원회가 동행명령장을 발부하자 오후 청문회에 뒤늦게 출석했다.
청문회에선 노승일 전 K스포츠재단 부장의 추가 폭로도 이어졌다. 참고인으로 나온 노 전 부장은 ‘최순실씨가 박근혜 대통령과 통화했느냐’는 질의에 “독일에 있을 때 한 차례 있었다”고 답했다.
최씨 딸 정씨에 대해선 “정유라는 운동선수로서 자질이 없었다. 몸 관리나 트레이닝보다는 여가시간을 더 많이 즐겼다”고 증언했다. 최씨와 김영재의원 김영재 원장 관계에 대해선 “독일에 갔을 때 한국에서 받은 물품 중 화장품이 모두 그쪽(김 원장 쪽 화장품 회사) 제품이었다”고 답했다.
최씨와 윤전추 청와대 행정관의 친분을 보여주는 크리스마스카드도 공개됐다.
바른정당 장제원 의원은 최씨가 ‘전추씨 메리 크리스마스, 새해에는 꼭 시집가세요’라고 적어 보낸 카드 문구를 읽으며 “이런데도 윤 행정관은 헌법재판소에서 ‘최씨를 개인적으로 모른다’고 위증했다”고 했다. 이어 “윤 행정관의 휴대전화에는 최씨 딸이 ‘정유연(정유라 개명 전 이름), 016 번호’로 입력돼 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는 홍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의 딸이 삼성 장학생으로 유학을 갔다는 제보가 있다”고 주장했다.
삼성의 정유라씨 지원 관련 증인으로 채택된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은 ‘폐쇄병동 입원 치료와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서를 제출하고 동행명령을 거부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조윤선 “특검서 왜 빨리 안 부르는지 의아” 노승일 “정유라, 운동선수로 자질 없었다”
입력 2017-01-09 18:07 수정 2017-01-09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