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적용 시점은 올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치르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겨울 시행)부터다. 문·이과 통합을 시도하는 새 교육과정(2015년 개정)이 처음 적용되는 수능 시험이어서 변화가 예상되긴 했지만 교육 수장이 “원천적인 문제를 고민 중”이라며 큰 폭의 변화를 시사해 주목된다. 수능 개편안은 이르면 오는 5월 윤곽이 나온다.
교육부는 9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하면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2021학년도 수능 시험 개편방안을 7월까지 마련한다”고 밝혔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육부 출입기자를 대상으로 한 지난 6일 사전 브리핑에서 “수능의 역할이 무엇인가부터 다시 검토해 대학 입시의 문제인지, 우리 학생의 학력에 관한 문제인지 원천적으로 기본적인 문제부터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능은 과거 20년간 고교 교육과정 전반을 지배해 왔다. 이 부총리의 언급은 이런 수능의 역할과 위상의 변화 가능성을 예고한 것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새 교육과정에 담긴 교육 철학과 대입 안정성 사이에서 절충이 시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새 교육과정은 진로·적성 맞춤형 학습을 강조한다. 국어 영어 수학 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6개 과목을 고교 1학년 때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과목으로 배워 기본 소양을 익히고, 2학년부터 진로·적성에 맞춰 공부한다.
수능 시험의 범위와 난이도가 관건이다. 수능 시험 범위가 공통과목에만 한정된다면 자격고사처럼 될 수 있다. 영어처럼 수학도 절대평가로 전환하면 입시에서 수능 영향력은 더 줄어든다. 반대로 일부 선택과목까지 수능에 포함되면 새 교육과정 취지가 퇴색할 수 있다. 문과생에 과학, 이과생에 사회 과목이 추가되는 것이어서 학습 부담이 급격하게 늘어난다. 진로·적성 맞춤형 학습이나 융합 학습이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 수능의 영향력이 유지된다면 입시 안정성에는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정책연구 용역을 진행하면서 수능개선위원회를 통해 개편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오는 5월에는 초안을 마련해 공청회를 열고 7월에 확정 발표하는 일정을 제시했다.
글=이도경 기자, 사진=이병주 기자
수능, 2021학년도부터 확 바뀐다
입력 2017-01-10 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