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마지막 ‘최순실 청문회’ 핵심증인들 또 무더기 불출석할 듯

입력 2017-01-08 23:50 수정 2017-01-09 00:04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특위가 9일 7차 청문회를 열고 그간 출석하지 않았거나 위증 혐의를 받고 있는 증인들을 불러들여 재차 진상 규명에 나선다. 오는 15일 특위 활동기한이 만료되는 만큼 이번 청문회는 최순실 국정농단에 연루된 핵심 증인들을 국민 앞에 세울 마지막 기회다.

특위는 7차 청문회에 20명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앞선 여섯 차례의 청문회에 불출석한 안봉근 전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 등 8명과 위증 혐의로 재출석 요구를 받은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7명, 국가정보원 추명호 전 국장과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 ‘대통령 미용사’ 정송주·정매주씨 자매 등 추가 증인 5명이다.

특위 위원들은 ‘문화계 블랙리스트’ 등 관련 의혹을 더 깊이 파헤치겠다는 입장이다. 조 장관은 블랙리스트 관련 위증 혐의로 집중 표적이 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출석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 헤어·미용을 담당한 정씨 자매가 출석할 경우 세월호 참사 당일 ‘대통령의 7시간’ 관련 대질심문이 벌어질 수도 있다.

변수는 핵심 증인들의 출석 여부다. 남궁곤 이대 교수와 박상진 사장, 정동춘 전 K스포츠재단 이사장, 정씨 자매 등 5명은 출석 의사를 밝혔다. 특위 측에 8일 오후 7시까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증인은 조 장관과 구순성 청와대 행정관, 김경숙 전 이화여대 체육대 학장, 박원오 전 국가대표 승마팀 감독,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이영선 청와대 행정관, 조여옥 전 청와대 간호장교, 추 전 국장, 최경희 전 이대 총장, 윤전추 청와대 행정관 등 모두 10명이다. 김소영 전 청와대 문화체육비서관, 박민권·조현재 전 문체부 차관 등 블랙리스트와 관련해 추가 채택된 참고인 4명 중에선 노승일 전 K스포츠재단 부장만 출석할 예정이다.정건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