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인명진(사진) 비상대책위원장이 친박(친박근혜) 핵심들의 반발로 무산된 상임전국위원회를 9일 다시 소집키로 했다. 그는 “열 번이라도 다시 소집하겠다”며 인적 청산 정면돌파 의지를 밝혔다. 서청원 의원의 사퇴 요구를 거부하고 “국정 파탄의 잘못에 대해 스스로 책임지라”고 맞받아쳤다. 인적 쇄신을 완료할 때까지 위원장직을 고수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그러나 서 의원은 “인민재판식 여론몰이” “암흑기 중세 교회에서나 볼 수 있는 퇴행적 행태” 등의 거친 표현을 쓰며 법적 대응을 예고해 당내 갈등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인 비대위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재 새누리당의 인적 쇄신 진행 과정은 미흡하다는 게 국민의 의견이자 제 판단”이라며 “인적 쇄신은 국민의 뜻을 받들어 반드시 완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 비대위원장은 특히 지난 6일 상임전국위 무산에 대해 “정족수 미달로 회의를 할 수 없었다는 건 새누리당에 남아 있는 패권정치, 패거리정치의 민낯”이라며 “음습한 관행에서 과감하게 탈출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상임전국위를 다시 열고, 무산되면 이틀 후 다시 열겠다. 열 번쯤 해보려고 한다”며 “(친박들이) 어떻게 하는지 보겠다”고 경고했다.
인 위원장은 “지금까지 68명이 인적 쇄신에 동참했다”며 정당성도 강조했다. 소속 의원 99명 중 3분의 2가 거취에 대한 백지위임을 했다는 것이다. 당 사무처 당직자, 비례대표 초선 의원 12명이 인 위원장을 공개 지지하는 등 명분 싸움에서도 우위인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유리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인 위원장은 ‘절제된 인적 쇄신’을 주장하며 공격 대상도 친박 핵심으로 분명히 했다. 자신의 거취에 대해서는 “인적 쇄신이 이뤄지지 않으면 다시 생각하겠다”며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필요하면 언제든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11일 국회에서 국회의원과 원외 당협위원장, 당직자가 모두 참여하는 대토론회도 열기로 했다. 서청원 최경환 의원 등 친박 핵심들을 전방위로 압박하겠다는 전략이다.
서 의원은 그러나 인 위원장을 향해 “인민재판식 여론몰이를 활용하려는 꼼수”라고 비판했다. “탈당 강요는 범죄이며 민주주의를 이해하지 못한 무식한 짓” “북한 김정은식 통치방식” 등 발언 수위도 높였다. 그는 “헌법재판소 결론이 나올 때까지 여당 당원으로서 책임을 지는 것은 당을 지키고 보수 진영을 재건하는 것”이라며 보수 단합을 주장했다. 서 의원은 또 인 위원장과 정우택 원내대표를 ‘위계와 강압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로 고발하고,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도 제출키로 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전국위 9일 다시 소집… 서청원, 국정파탄 책임져야”
입력 2017-01-08 18:16 수정 2017-01-08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