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최지성 부회장·장충기 사장 1월 9일 동시 소환

입력 2017-01-08 18:45 수정 2017-01-08 21:18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박근혜 대통령의 제3자 뇌물수수 혐의 입증을 위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향한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을 둘러싼 청와대→보건복지부→국민연금으로 이어지는 합병찬성 지시 배경과 삼성의 최순실(61)씨 일가 100억원대 지원 사이의 ‘대가성’을 밝히는 것이 핵심이다.

특검팀은 9일 오전 10시 최지성 삼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을 동시에 소환한다고 8일 밝혔다. 두 사람은 각각 삼성의 2인자와 3인자에 해당하는 핵심 수뇌부다. 특검팀이 삼성의 1인자 이 부회장 소환을 앞두고 사전조사를 위해 두 사람을 우선 부른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특검 관계자는 “최 실장과 장 차장은 일단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되지만 조사 과정에서 신분 변동 가능성 있다”고 밝혔다. 뇌물공여 혐의가 드러나면 피의자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두 사람의 진술 태도와 내용에 따라 대질심문이 이뤄질 수도 있다.

이와 관련, 특검팀은 삼성이 최씨 측에 지원한 약 96억원의 자금이 모두 뇌물이라는 판단을 내리고 이 부회장의 개입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삼성은 2015년 7월 25일 박 대통령과 이 부회장이 독대한 직후 대한승마협회 지원을 결정했다. 삼성전자는 최씨의 독일회사인 코레스포츠(비덱스포츠 전신)에 약 35억원을 보냈다. 또 정씨 등이 사용할 말 구입비로 약 45억원을 지출했고, 최씨의 조카 장시호씨가 운영한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는 후원금 16억2800여만원도 내놨다.

특검팀은 그동안 수사를 통해 독대 직전인 2015년 7월 17일 국민연금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해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도와줬고, 삼성 측이 그 대가로 최씨를 지원하는 ‘모종의 거래’가 이뤄졌다고 의심해 왔다. 이와 관련, 특검팀은 삼성의 핵심 조직인 미래전략실의 역할과 이 부회장의 관련성도 살펴보고 있다. 미래전략실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작업과 최씨 측에 대한 금전 지원 실무를 총괄했고, 이 과정을 이 부회장에게 상세히 보고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미 청와대에서 복지부, 국민연금으로 이어지는 합병찬성 지시·개입 의혹은 상당 부분 수사가 진행돼 문형표 전 복지부 장관이 국민연금 측에 합병 찬성을 지시한 정황이 드러나 지난달 31일 구속됐다. 청와대의 지시를 복지부에 전달한 것으로 의심받는 김진수 보건복지비서관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로 입건됐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