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핵심 친박(친박근혜)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인적 쇄신 방침을 밀어붙이기로 했다. 인 위원장은 ‘절제된 인적 쇄신’이라는 표현을 쓰며 서청원 의원 등 친박 핵심 인사의 용퇴를 거듭 촉구했다. 자진탈당 인원을 최소화하는 등 새누리당의 환부만 도려내겠다는 취지다.
인 위원장의 ‘인위적 청산’에 반발한 서 의원 등은 더욱 코너로 몰리는 모양새다. 그러나 서 의원은 법적 대응 방침을 밝히며 인 위원장과의 전면전을 선언했다. 인적 청산을 둘러싸고 당 지도부와 서 의원 간 사생결단식 싸움이 격화될 전망이다.
인 위원장은 8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원직을 버리는 것도 아니고 최소한의 책임을 지라는 것도 거부하면 이를 국민들이 어떻게 생각하겠느냐”고 말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여당 책임론이 비등해진 상황에서 최소한의 인적 쇄신은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여기엔 새누리당 의원 3분의 2 이상(99명 중 68명)이 자신의 인적 쇄신 취지에 동참한 만큼 ‘최소한의 환부’만 도려내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인 위원장은 당 안팎의 우호적 여론을 무기로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자신의 거취에 대해 “실망하실 국민들이 저의 결심을 망설이게 한다”며 새누리당의 ‘쇄신운동’에 힘을 실어 달라고도 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7일과 8일 인 위원장 자택을 잇따라 찾아 비대위원장직 사퇴를 만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 고위 관계자는 “인적 쇄신 없이는 당 존립 자체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서 의원은 인 위원장 기자회견 후 “정치적 싸움의 최종 종착역은 법의 판단”이라며 조만간 인 위원장에 대한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탈당 압박에 대해선 “중대한 범죄행위”라며 “인 위원장, 정 원내대표 모두 고발 대상”이라고 했다. 이어 “정당법 54조에 ‘탈당을 강요하는 자’에 대해 2년 이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토록 규정하고 있다”고 했다. 서 의원은 인 위원장이 ‘여론몰이’에 나섰다고 맹비난하며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 주변엔 서 의원 지지자들이 모여 인 위원장 사퇴를 촉구했다.
서 의원은 전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인 위원장은 새누리당을 정체불명의 급진 정당으로 만들고 있다”며 ‘색깔론’까지 꺼내든 바 있다. 인적 쇄신에 반대하는 최경환 의원은 자신의 지역구인 경북 경산에 머물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인명진 위원장 “환부 도려내야” vs 서청원 의원 “탈당압박 범죄” 전면전
입력 2017-01-08 18:39 수정 2017-01-08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