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새누리당 상임전국위원회가 정족수 미달로 무산됐다. 상임전국위는 이날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을 뒷받침할 비상대책위원들을 임명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친박(친박근혜)계 위원들의 참석 거부로 재적인원을 채우지 못했다. 서청원 최경환 의원 등 친박계의 조직적 반격이라는 평가다.
‘인명진 비대위’ 공식 출범을 통해 인적쇄신을 강행하려던 새누리당 지도부 계획은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인 위원장의 일방적 강수가 강성 친박계의 결집력을 키웠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러나 지난해 상임전국위 무산 사태가 재연되면서 ‘도로 친박당’ 이미지는 더욱 굳어지게 됐다. 친박계는 지난해 5월 김용태 의원을 위원장으로 한 혁신비대위 의결을 반대하며 상임전국위를 무산시킨 바 있다. 인 위원장이 사의를 표명할 경우 당 내부에서 역풍이 일고, 대규모 2차 탈당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인 위원장은 6일 오후 3시40분쯤 “오늘의 사태에 대해 안타깝고 국민 여러분께 부끄럽다”며 상임전국위 무산을 인정했다. 그는 “나라를 망친 패거리 정치의 민낯이 어떤 것인가를 낱낱이 보여주는 사태”라며 친박계를 비판했다.
당초 회의 예정 시각은 오후 2시였지만 상임전국위 정족수(정원 51명 중 과반인 26명) 2명이 부족해 1시간40분을 기다렸다. 김진태 백승주 윤재옥 이철우 이헌승 의원 등 친박계 위원들은 끝내 참석을 거부했다. 서울에 머물던 중 전날 상임전국위 소집 소식을 듣고 지역으로 내려간 위원들도 있었다고 한다. 박맹우 사무총장은 “(전날까지) 우리가 확인한 참석 예정자가 36명 정도 됐다”며 “(회의장 근처까지) 다 왔는데 반대 작업 때문에 들어오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방해하는 세력들이 막았다”고 말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분들의 방해가 있었다”며 “다음 주중 다시 상임전국위를 열겠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이날 불참자를 제적해 정족수를 채우는 방안을 고려했다. 하지만 상임전국위 의장단이 “절차적 민주주의가 중요하다”고 거부해 실행되지 못했다고 한다. 인적청산 강공 드라이브를 계속하겠다는 뜻이다.
인 위원장은 상임전국위 무산 후 “당을 잘 추슬러서 다시 한번 국민에게 사랑받을 수 있도록 당 개혁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퇴근 전에는 “집사람이 짐 싸갖고 오라는데 짐이 없어서…, 빈손으로 가기도 그렇다”고 했다. 인 위원장은 8일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의 거취 등 향후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핵심 친박들도 강경 입장에 변화가 없다. 서 의원은 인 위원장의 탈당 강요나 할복 발언 등을 문제 삼아 정당법 위반, 협박·강요죄 등으로 고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 비대위원장이 서 의원과 막말로 언쟁하며 갈등을 키워 반발을 키웠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한 친박계 의원은 “상임전국위 통보를 하루 전날 저녁 9시에 하는 게 어디 있느냐”며 “이런 꼼수 계략 정치로는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벼랑끝 친박 조직적 반격… 인명진표 ‘인적 청산’ 스톱
입력 2017-01-06 17:37 수정 2017-01-06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