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보수신당(가칭)이 선거연령 18세 하향 방침을 하루 만에 백지화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 선거는 ‘19금(禁) 포르노’가 아니다”며 ‘18세 선거권’ 도입을 촉구했다. 보수신당이 설익은 ‘개혁안’을 꺼냈다가 야권 성향의 청년층 표심을 의식해 입장을 뒤집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보수신당 정병국 창당추진위원장은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창당준비회의에서 “선거연령을 낮추는 데 이견이 있고 4일 회의에 참석하지 못한 분도 있었다”며 “추후 토론 등 과정을 거쳐 당의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4일 “선거연령은 18세로 전체 합의를 봤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 위원장의 ‘선거연령 18세 하향 입장 정리’ 발언 이후 당내 반대가 거셌다. 결국 정 위원장은 전날 발언을 취소하고, 재논의 방침을 밝힌 것이다. 보수신당이 아직 당헌·당규도 마련하지 않았는데, 선거연령 조정안을 당론으로 정할 수 없다는 주장도 감안했다고 한다.
보수신당의 오락가락 결정은 당 안팎의 비판을 샀다. 창당을 앞두고 여론의 주목을 받아야 한다는 조급증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남경필 경기지사와 유승민 의원 등은 계속 선거연령 하향 조정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보수신당의 한 의원은 “당을 완전히 장악한 리더가 없고 자기주장이 강한 의원들이 신당에 많은 것도 사실”이라며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선거연령 하향 조정이 필요하다며 보수신당의 협력을 요청했다. 윤호중 정책위의장은 정책조정회의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19세 이상에게만 선거권을 주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며 18세에 선거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정책위의장은 선거연령 조정에 부정적인 새누리당을 향해 “대승적 결단을 촉구한다”고 했다.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는 SNS를 통해 “(18세는) 군대 가고 세금 낼 의무는 있는데 투표할 권리는 없다”며 “우리 청년들의 정치의식은 세계 최고인데 권리는 OECD 최저”라고 주장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18세 선거권’ 도입 진통… ‘오락가락’ 보수신당 하루 만에 백지화
입력 2017-01-05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