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 보복 사실상 시인… “국면전환 고려할 것”

입력 2017-01-05 00:09
더불어민주당 방중 대표단이 4일 베이징 중국 외교부 청사에서 왕이 외교부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 두 번째부터 박찬대 유은혜 유동수 송영길 의원, 왕 부장, 박정 신동근 정재호 의원, 박선원 전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전략비서관. 베이징=공동취재단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4일 중국을 방문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만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반도 배치에 대한 반대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방중 의원단이 사드와 관련한 중국의 보복성 조치를 풀어줄 것을 요구한 데 대해 왕 부장은 “사드 배치가 늦춰지면 갈등 국면 전환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사드와 관련해 중국이 그동안 정부 차원에서 보복성 조치를 취해왔음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송영길 의원 등 7명의 민주당 방중 의원단은 이날 베이징 중국 외교부 청사에서 왕 외교부장, 쿵쉬안유 부장조리(차관보급)와 잇따라 면담했다. 왕 부장은 면담에서 “(사드 배치) 가속화 프로세스가 멈췄으면 좋겠다”면서 “한·중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공동 노력하자”고 밝혔다고 의원단 관계자가 전했다.

아울러 중국 측은 최근 미국과 한국정부가 사드 배치를 가속화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불만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의원단 관계자는 “중국 측은 가속화라는 발언보다는 (사드를) 일시 중단하면서까지 북핵 문제 해결과 사드에서 서로 핵심 이익을 건드리지 않는 쪽으로 방법을 찾을 수 있을지를 협의하고 논의해야 하는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방중 의원단은 면담에서 최근 진행 중인 각종 사드 관련 보복성 조치의 중단을 강하게 요청했다. 이에 대해 왕 부장은 “사드 배치가 늦춰지면 갈등 국면 전환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해 보복조치 등을 줄일 것을 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의원단 관계자는 “중국 측은 한국 의원들의 설명을 중시한다면서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국면을 전환하는 것을 고려하겠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그동안 중국 여행객의 한국 방문 제한, 한국행 전세기 불허, 한국 전기차 배터리 관련 인허가 지연, 한류 스타 출연 금지 등의 조치를 취해 왔다. 특히 한류 제한 등의 조치와 관련해서는 “국민 감정이 안 좋은데 한국 드라마나 영화를 보여주면 오히려 더 안 좋을 수 있으니 중국 국민이 보지 않고 제재한 것”이라는 중국 측의 언급이 나와 이를 간접 시인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중국은 사드 배치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의 갈등 속에 야당 방중 의원들을 환대했다. 그동안 중국 관리들이 한국정부 인사들의 면담 요청에 성실하게 응하지 않았던 것과는 완전히 대비되는 행보다. 야당 의원들에 대한 중국의 이례적 환대는 야당의 집권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 현 정부와는 ‘차등 대우’를 하며 중국의 반대 입장을 부각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