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인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국회 분원과 청와대 집무실을 설치해야 하고 행정자치부와 미래창조과학부 등 중앙부처의 세종시 이전이 반드시 이뤄져야 합니다.”
이춘희 세종특별자치시장은 4일 국민일보와 신년인터뷰에서 “지방분권의 상징도시인 세종시가 조기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헌법 개정을 통해 분권형 권력구조를 정립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국회 분원과 청와대 제2집무실 설치가 저의 첫 번째 공약이었는데 이를 내세울 때만해도 뜬금없다는 반응이었으나 정의화 전 국회의장이 강연에서 국회 분원을 언급했고 20대 총선에서도 여야 모두 국회 분원을 공약하는 등 많은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 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검토해 국회법 개정 등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저출산 문제는 우리 사회의 가장 큰 과제”라며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해 출산과 육아, 보육과 관련한 44개 과제를 추진해 모든 출생아에게 120만원을 일시금으로 주고 가정방문 산후조리 등을 실시해 출산율을 높여나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시장은 주변 자치단체와 갈등을 빚고 있는 세종역 신설과 관련, “세종역이 신설돼도 주변역의 위상에 큰 지장을 주지 않을 것”이라며 “대전 북부권, 공주권, 호남권 등의 세종시 접근이 좋아지고 실질적인 행정수도로서 위상이 높아져 장기적으로 충청권 전체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행복도시건설청과의 정책적 엇박자에 대해선 “세종시와 행복청은 ‘세종시 정상 건설’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향해 함께 가는 동반자적 관계”라며 “간혹 도시 건설 방향에 대한 견해차가 있지만 상호 신뢰와 존중 속에 긴밀히 협력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시장은 세종시 출범 5년째 평가에 대해 “행정중심도시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고 광역행정체계 기반을 구축했다는 데 점수를 주고 싶다”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세종시 출범 5년, 세종시 신도시(행복도시) 착공 10년이 되는 해로 출범 당시 10만 명이던 인구가 24만 명을 넘어섰고 재정도 두 배 정도 늘어난 연간 1조5000억원에 달하고 처음으로 정부 합동평가에서 전국 1위를 달성하는 등 양적·질적 성장을 모두 이뤘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대외적으로 국회 분원과 KTX 세종역 설치, 미래부 등 수도권에 남아있는 부처의 이전 등 세종시가 실질적인 행정수도로 발돋움하는 데 중요한 현안이 즐비해 올해는 세종시로서는 매우 중요한 한 해“라고 강조했다. 또 ”내부적으로는 원도심 재생 프로젝트인 청춘조치원 프로젝트와 로컬푸드 사업이 성과를 내고 기업·대학·연구소 등을 유치해 도시의 자족기능을 대폭 확충할 수 있도록 1400여 명의 공무원과 함께 세종시 발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세종=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신년 초대석] 이춘희 세종시장 “행정수도 완성 위한 후속 조치 필요”
입력 2017-01-04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