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도 “비정규직·최저임금 문제 전향적 검토”

입력 2017-01-03 00:04
새누리당이 비정규직 처우 개선과 최저임금 인상을 언급했다. 새누리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2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주요 당직자 회의에서 “민생에는 진보와 보수가 따로 없다”며 “비정규직·최저임금 문제에 대해 전향적인 접근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최저임금 문제를 언급하며 “여야 논의의 진전에 따라 매우 의미 있는 수준으로 상향조정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저임금 조정 과정에서 소상공인·중소기업이 의도치 않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원책도 적극 추진돼야 할 것”이라며 야당에 호응을 촉구했다.

정 원내대표가 언급한 ‘매우 의미 있는 수준’이란 지난해 4·13총선에서 새누리당이 2020년까지 약속한 최대 9000원 수준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현재 정책위의장은 “올해 6470원인 최저임금이 올해 인상된 속도로 2020년까지 가면 8400원이 된다. 이 속도를 조금 더 빨리 내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자영업자나 중소기업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놓고 내부에서 논의 중이라고 이 정책위의장은 밝혔다.

보수 성향의 여당 지도부가 비정규직과 최저임금 문제를 먼저 공론화하고 나선 것은 대선을 앞두고 ‘산토끼’에 비유되는 중도 표를 잡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특히 분당(分黨) 후 ‘안보는 보수, 경제는 개혁’ 프레임으로 차별화에 나서는 개혁보수신당(가칭)에 대한 견제구 성격도 있다. 새누리당이 경제·민생 분야 좌클릭을 선언한 보수신당을 벤치마킹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동안 새누리당은 최저임금 인상에 미온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해 7월에도 기대치에 못 미친 최저임금 440원(7.3%) 인상을 ‘경제를 고려한 고육지책’이라고 옹호해 논란을 빚었다. 당시 야당과 노동계는 새누리당이 재계 반발을 의식해 최저임금에 관한 입장을 슬그머니 바꿨다고 비판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 같은 새누리당 입장 변화에 대해 선거를 앞두고 구호로만 내놓는 포퓰리즘 정책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