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작심삼일 새해 금연… 끊어야 ‘살맛’

입력 2017-01-03 04:09
자영업자 이모(32)씨는 올해 다시 금연을 다짐했다. 지난해에도 새해 목표로 금연을 결심했다가 3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담배에 손을 댔다. 그는 “금연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끊기가 너무도 힘들었다”며 “보건소에 가면 금연클리닉이 있다는데 갈 시간도 없고 금연 계획을 어떻게 짜야 할지 몰라 매번 작심삼일”이라고 털어놨다.

흡연자들은 이씨처럼 새해가 되면 매번 금연을 꿈꾼다. 올해는 강력한 흡연 경고 사진이 부착된 담배가 본격 판매되면서 금연 효과가 커질 것이란 기대감도 있다.

최근 몇 년간 정부는 강력한 흡연 규제 정책을 폈다. 흡연자의 입지도 그만큼 좁아졌다. 기존에는 150㎡ 이상 영업소에 국한 금연을 강제했으나 2014년 1월 1일부터 100㎡ 이상의 영업소로 확대했다. 지난해 1월 1일에는 모든 영업소가 금연구역이 됐고, 담뱃값이 배 가까이 올랐다.

강력한 흡연 규제 정책에도 흡연율 추이에는 큰 변화가 없다. 2013년 우리나라 성인(만 19세 이상) 인구의 흡연율은 24.1%, 2014년은 24.2%, 2015년에는 22.6%였다. 성인 인구가 매년 4100만∼4200만명 수준임을 감안하면 1000만명 남짓이 흡연자인 셈이다.

연초에 반짝하는 금연이 아니라 6개월 이상 담배를 멀리하는 안정적 금연에 이르려면 규제 정책만 아니라 금연을 지원하는 정책이 함께 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연 지원 정책 중 가장 우선적으로 보완해야 할 문제는 금연 상담인력 부족이다. 금연 지원 프로그램은 전화·인터넷을 통한 금연 상담, 전국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 찾아가는 금연 서비스 등 대부분 상담과 교육으로 이뤄진다. 매년 흡연 규제가 심해지면서 금연을 다짐하는 사람은 늘지만 금연 상담사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보건소에 배치된 금연 상담사는 평균 2.5명, 전국적으로는 874명(지난해 6월 말 기준)에 불과하다.

새해에는 보기에도 섬뜩한 흡연 경고 사진 때문에 금연 상담을 원하는 흡연자가 더 늘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에도 담뱃값 인상으로 연초 금연 클리닉 방문자 수가 전년 대비 106.8% 급증해 일선 보건소가 어려움을 겪었다. 금연클리닉의 연간 이용자 수는 약 44만명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상반기에만 40만명을 넘어섰다. 복지부 관계자는 “올해 금연사업 관련 예산이 55억원 늘어난 만큼 인력 확충도 검토 중”이라며 “보건소 금연클리닉 확대를 위해 모두 385억원이 책정됐다”고 설명했다.

흡연의 폐해를 알리는 광고는 많지만 금연 지원 정책 홍보는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다. 우준향 한국금연협의회 사무총장은 “전문가의 치료를 무료로 받을 수 있는 금연 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훨씬 쉽게 금연을 달성할 수 있지만 홍보가 제대로 안 돼 모르는 흡연자가 많다”며 “복지부가 매년 많은 예산을 쓰기는 하지만 적재적소에 배정되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삽화=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