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리스트 핵심 소환, 조윤선·김기춘만 남았다

입력 2017-01-03 00:05 수정 2017-01-03 04:00
송광용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이 2일 오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참고인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윤성호 기자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을 수사 중인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막바지 ‘몸통 찾기’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이미 지시 라인으로 지목된 청와대-문화체육관광부 관련자들에 대한 소환조사는 대부분 마무리 단계다. 남은 건 조윤선 문체부 장관과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뿐이다.

특검팀은 2일 오전 10시 송광용(63)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송 전 수석이 근무했던 교육문화수석실은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문체부에 전달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앞서 김상률(57)·모철민(59)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역시 지난달 28, 29일 각각 특검팀의 조사를 받았다. 특검팀은 송 전 수석을 상대로 블랙리스트 존재를 알고 있었는지, 청와대 내에서 해당 리스트 관련 지시나 얘기가 오간 사실이 있는지 등을 추궁했다.

특검팀은 지난달 26일 조 장관과 김 전 비서실장의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하면서 관련 수사에 착수했다. 명단 일부를 압수수색 등을 통해 확보한 특검팀은 이후 김종덕(60) 전 문체부 장관, 정관주(53) 전 문체부 1차관, 신동철(56)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김소영(51) 전 청와대 문화체육비서관 등을 소환해 조사하며 ‘윗선 규명’에 나섰다.

관계자 진술 등을 통해 특검팀은 블랙리스트가 정무수석실 주도로 작성돼 교육문화수석실을 거쳐 문체부에 전달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당시 정무수석이던 조 장관은 블랙리스트 존재에 대해 “몰랐다”고 완강히 부인하고 있으나 정무수석실이 블랙리스트 출처로 지목되면서 소환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배후로 지목된 김 전 실장도 조만간 특검에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특검팀은 또한 이 과정에서 송수근 현 문체부 1차관이 블랙리스트 관리를 총괄했다는 정황을 포착, 그를 수사선상에 올렸다. 이미 특검팀은 지난번 압수수색을 통해 송 차관의 휴대전화를 압수, 분석을 마친 상태다. 송 차관은 정 전 차관이 블랙리스트 수사선상에 오르자 지난 30일 후임으로 임명됐다. 그러나 그 역시 블랙리스트 문제에 연루되면서 문체부는 현직 장·차관이 동시에 특검 수사를 받게 됐다.

한편 특검팀은 ‘비선 의료’ 의혹에 연루된 성형외과 원장 김영재씨의 의료법 위반 혐의를 확인하기 위해 강원도 원주의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이날 압수수색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