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부산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에 불만을 품고 한·일 통화스와프 협상을 중단할 수 있다는 관측이 현지 언론에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측에선 “지난해 한국에 지불한 10억엔(약 103억원)은 마치 보이스피싱(입금사기)을 당한 것과 같다”는 불만이 새어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1일 아사히신문은 전날 밤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앞에서 진행된 소녀상 제막식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며 “(서울)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문제도 진척이 없는 상황에서 또 다른 ‘설치극(劇)’에 일본 정부의 불만이 거세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외무성 소식통을 인용해 “(2015년) 12·28 한·일 위안부 합의는 양국 외교장관이 맺은 무거운 약속이다. 소녀상 설치의 책임을 지자체에 전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아베 총리에게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측근들의 불만이 쇄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 합의에 따라 한국 내 화해·치유재단에 일본이 10억엔을 출연한 이후에도 소녀상 문제가 계속 불거지는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이 연장선에서 한국이 제안한 통화스와프 재개 협상이 정체될 가능성이 있다고 아사히는 보도했다.
한국과 일본은 2001년 20억 달러 규모로 통화스와프를 시작했고 2011년 700억 달러(약 85조원) 규모로 확대했다. 하지만 2012년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독도 방문 여파로 2015년 2월에 만료됐다. 지난해 8월 양국 재무장관회의에서 통화스와프 재개를 논의키로 합의했지만 아직 가시적인 성과는 없는 상황이다.
신훈 기자 zorba@kmib.co.kr
부산 소녀상 설치에 日 “보이스피싱 당한 것 같다”
입력 2017-01-02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