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심화되는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제주형 주차종합대책’을 본격 추진한다.
도는 2019년까지 1993억원을 투입, 주차장 2만8000면을 확보하고 자가용 주차장 보급률을 94.7%에서 102.7%까지 확대한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지가상승 등으로 차량 증가에 비례한 주차장 확충이 어려워지면서 기존 주차장의 효율적 활용 등 주차정책의 패러다임을 수요관리로 전환시키기 위한 조치다.
주차종합대책에 따르면 상가·도심지·주요관광지 등 교통혼잡 지역을 중심으로 23곳(3886면)에 공영주차장 복층화가 이뤄진다. 또 296곳(8420면)에 공영주차장 조성, 자기차고지 갖기(694면) 등을 통해 1만3000면이 신규로 확충된다.
전체 주차장(32만4305면)의 73% 이상을 차지하는 부설주차장(23만7010면) 활용을 위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시범사업을 거쳐 주차장 시설개선 인센티브 지원과 부설주차장 시설기준도 강화한다. 또 저조한 주차회전율을 보완하고 공영주차장 사유화를 막기 위해 현재 26곳인 유료 공영주차장을 2019년까지 223곳으로 확대한다.
도 관계자는 “무인 스마트 주차관제시스템 도입, 주차요금체계 개편, 차고지증명제 시행에 대비한 상시 모니터링제 도입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제주도, 2000억 들여 주차난 해결 추진
입력 2017-01-02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