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사전 컨설팅 받으세요”

입력 2017-01-01 21:27
경기도가 공동주택관리에 ‘사전 컨설팅 서비스’ 제도를 도입한다. 도 차원에서 투명한 공동주택 관리를 위해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경기도는 도내 공동주택관리에 대해 전문가가 자문해주는 ‘사전 컨설팅 서비스’를 올해 시범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사전 컨설팅 서비스는 공동주택 관리와 관련한 주요시설 교체, 보수공사, 청소, 경비 등 사업체 입찰 시행에 앞서 부실 발주 등을 예방하기 위해 공무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이 공사비, 용역비 산출 등을 자문해주는 사업이다.

서비스 대상은 2015년 말 기준 25개 시·군에 소재한 공동주택 2293단지다. 해당 공동주택은 5억원 이상 공사나 3억원 이상 용역을 입찰하기 전에 사전 컨설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내 나머지 용인·화성·광명·고양·부천·남양주 등 6개 지자체는 이미 자체적으로 공동주택관리자문단을 설치·운영 중이다. 주요 자문내용은 공사·용역계획의 사업자 선정지침 위반 여부 등 관련법 검토, 설계도면·내역서·시방서 등 공법 및 공사비용의 적정성, 청소·경비 등 용역비 산출 적정성 등이다.

자문을 원하는 공동주택단지는 입주자대표회의 의결을 거쳐 신청서와 구비서류를 사업자 선정 입찰 공고 이전까지 경기도 공동주택과를 방문해 제출하거나 팩스(031-8008-4369)로 보내 신청하면 된다.

백원국 도시주택실장은 “공동주택 노후화로 유지보수 비용이 늘고 관리 비리에 따른 주민간 갈등이 불거지는 경우가 있어 투명한 공동주택 관리를 위해 전문가 컨설팅 서비스를 도입하게 됐다”며 “올 한 해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효과 등을 검토·분석한 뒤 자문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